[포토 에세이] 간판을 바꿔 다는 것도 ‘사치’입니다… 그래도 ‘꿈’이 있어 오늘을 버팁니다

[포토 에세이] 간판을 바꿔 다는 것도 ‘사치’입니다… 그래도 ‘꿈’이 있어 오늘을 버팁니다

입력 2015-04-19 17:48
수정 2015-04-20 02: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황의 늪’에 빠진 자영업자들

이미지 확대
서울 홍제동의 한 기저귀 도매 상점이 잦은 업종 변경 탓에 중고 피아노사 간판을 바꾸지 못한 채 영업을 하고 있다.
서울 홍제동의 한 기저귀 도매 상점이 잦은 업종 변경 탓에 중고 피아노사 간판을 바꾸지 못한 채 영업을 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홍제동의 한 의류 상점이 교습소 간판으로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서울 홍제동의 한 의류 상점이 교습소 간판으로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홍제동의 한 전봇대에 점포를 급매한다는 종이가 붙어 있다.
서울 홍제동의 한 전봇대에 점포를 급매한다는 종이가 붙어 있다.


이미지 확대
서울 홍제동의 폐업상점 앞에 대출을 알리는 명함이 떨어져 있다.
서울 홍제동의 폐업상점 앞에 대출을 알리는 명함이 떨어져 있다.


손바닥만한 가게.

몇 시간을 기다려도 손님이 들지 않는다.

어쩌다 눈길 주는 행인 있어

혹 기대를 해 보지만,

눈으로만 상점을 훑고 이내 떠나 버린다.

자영업자 열의 아홉은 쪽박이라 했던가.

알고 있어도 당장 살기 위해 시작할 수

있는 직장이라고는 이것뿐이었다.

실업급여, 청년일자리대책…

사회고용안정을 위한 장치는 많지만

명색이 ‘사장님’인 그들에게는

해당되지 않는 이야기다.

불안한 현실 속 길거리 상점은 하루가

멀다 하고 망하고,

또 그 자리를 새로운 예비 쪽박 자영업자가

들어선다.

언제 망할지 모르는 현실과 마주하면

간판을 바꿔 다는 일조차 녹록지 않다.

어쩌다 벌린 돈은 창업 이자를 대고 나면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린다.

그럴 줄 알았다는 듯 가게 앞에 뿌려진

대출 명함을 만지작거려 보지만,

그래도 꿈을 버릴 순 없다.

오늘도 그렇게 버티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015-04-2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