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여론조사] 외교·대북정책 높은 점수… 경제·교육·인사 “잘함” 20%선 불과

[창간 여론조사] 외교·대북정책 높은 점수… 경제·교육·인사 “잘함” 20%선 불과

입력 2013-07-18 00:00
수정 2013-07-18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근혜정부 정책 8개 분야별 평가

박근혜 정부의 정책을 복지·경제·민생안정·교육·대북·외교·인사·국민대통합 정책 등 8개 분야로 나눠 조사한 결과, 외교정책과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높았던 반면 인사정책과 교육정책,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미지 확대


8개 분야를 평균해 살펴보면 잘함이라는 긍정평가는 34.7%로 못함이라는 부정평가의 19.1%보다 15.6%포인트가 높았다. 8개 분야 가운데 외교정책에 대한 긍정평가가 62.6%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대북정책 59.6%, 복지정책 32.0%, 민생안정정책 29.0%, 국민대통합정책 28.7%, 경제정책 24.1%, 교육정책 21.7%, 인사정책 19.7% 등의 순이었다. 박 대통령의 미국과 중국방문, 개성공단 정상화 회담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는 외교와 대북분야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경제정책과 교육정책, 그리고 출범 초 잇따른 고위직 낙마사태를 겪었던 인사정책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외교정책은 서울(69.0%)과 부산·울산·경남(68.2%)에서, 연령대로는 50대(77.4%)와 60대 이상(77.6%)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대북정책에 대한 긍정평가도 대전·충청(69.7%), 서울(64.7%), 50대(75.3%), 60대 이상(75.0%)에서 높았다.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는 팽팽했다. 보통이라는 응답이 46.9%로 가장 많았고 잘한다는 응답은 24.1%, 못한다는 응답은 21.4%로 비슷했다. 대전·충청(35.1%), 60대 이상(37.5%)의 고연령층, 농림축산업(45.6%), 중졸 이하(40.8%)의 저학력층, 소득하위층(28.2%)에서는 상대적으로 긍정평가가 높았다. 반면 광주·전라(34.1%), 20대(28.3%), 30대(31.8%)의 저연령층과 학생(27.4%)에서는 부정적 평가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청년 실업 등의 문제가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인사정책에 대해서는 못한다는 답변이 34.2%로 보통이라는 37.3%에 이어 많았다. 잘한다는 응답은 19.7%에 불과해 부정적 평가가 긍정적 평가에 14.5%포인트가 높았다. 인사정책에 대해서는 광주·전라(46.4%), 30대(44.0%), 화이트칼라(40.2%), 대졸 이상(42.8%), 소득 상위층(44.8%)일수록 부정적 평가가 높았다.

계층, 이념, 지역 간 화합 등 박근혜 정부의 국민대통합정책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평가가 28.7%로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19.8%)보다 8.9%포인트가 더 높았다. 부산·울산·경남에서는 34.3%가 국민대통합정책을 잘하고 있다고 평가한 반면 광주·전라의 32.7%는 못하고 있다고 답하는 등 영호남의 평가가 엇갈렸다.

박근혜 정부가 앞으로 중점 추진해야 할 정책(중복응답)으로는 경제정책(59.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민생안정정책(41.9%), 복지정책(33.2%), 대북정책(20.1%), 교육정책(15.1%), 국민대통합정책(11.9%), 외교정책(7.9%), 인사정책(5.1%)의 순이었다. 정치성향별로는 보수성향층의 63.3%는 경제정책을 우선순위로 꼽은 반면 중도성향층은 46.0%가 민생안정정책을, 진보성향층은 38.1%가 복지정책을 꼽았다.

김효섭 기자 newworld@seoul.co.kr

2013-07-1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