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여론조사] 고정 지지층 42.5%+새 지지층 18.7% 민주와 지지 겹치는 유동층도 34.3% 달해

[창간 여론조사] 고정 지지층 42.5%+새 지지층 18.7% 민주와 지지 겹치는 유동층도 34.3% 달해

입력 2013-07-18 00:00
수정 2013-07-18 0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朴대통령 지지 형태 분석

박근혜 대통령이 취임하기 이전과 현 시점을 비교해 볼 때 ‘이전에도 지지했고 지금도 지지한다’는 응답자, 즉 고정지지층은 42.5%였다. ‘이전에는 지지했으나 지금은 지지하지 않는다’는 지지이탈층은 15.6%였고, ‘이전에는 지지하지 않았으나 지금은 지지한다’는 지지유입층은 18.7%였다. ‘이전에도 지지하지 않았고 지금도 지지하지 않는다’는 지속적인 비지지층은 20.7%였다. 2.4%는 응답하지 않았다.

이번 조사는 과거 당 대표와 대선 후보 시절 최소 40%의 박스권 지지율을 형성하고 있었던 박 대통령의 고정 지지율이 견고하다는 것을 재확인해 주는 수치다. 새 정부 들어 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 의사를 철회하거나 새로 지지하게 된 유동층은 34.3% 수준이었다. “앞으로 민생경제·복지정책 추진 여부에 따라 현재 의사에서 얼마든지 돌아설 수 있는 잠재적인 유동층”이라고 에이스리서치 측은 설명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사활을 걸어야 할 중도 유권자층과도 상당 부분 겹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유동층만 놓고 보면 박 대통령 비지지에서 지지로 마음을 바꾼 계층이 반대로 움직인 계층보다 3.1% 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지지하게 된 계층은 박 대통령의 서민경제 활성화 정책, 원칙에 입각한 대북 외교 등에 점수를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새 정부 초반 뚜렷이 부각되지 못한 경제민주화나 민생경제 활성화 정책, 연이은 인사 실패, 뒤늦게 시동이 걸린 국민대통합 정책 등 새 정부 초반 실점 요인들은 기존 지지자들이 등을 돌리게 된 배경으로 분석된다. 향후 박근혜 정부가 최소 35%에 육박하는 중도층 유권자들을 어떻게 유인할지 주요 과제로 보인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3-07-1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