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창사 50주년을 맞는 2019년 글로벌 초일류 항공사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운영 항공기의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해외 노선 확충으로 시장을 넓히고, 새로운 항공기와 기자재에 대한 과감한 투자와 지속적 변화와 혁신으로 이룩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한항공은 항공 서비스 경쟁력 향상을 위해 차세대 고효율 신형 비행기를 도입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5년 6월 국내 항공 사상 최대 규모인 항공기 100대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을 통해 도입한 보잉사의 ‘B737MAX-8’과 에어버스사의 ‘A321NEO’ 기종은 각각 50대를 계약해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
이전부터 ‘하늘 위의 호텔’이라 불리는 ‘A380’ 10대를 도입 완료했고, 초대형 신규 항공기 ‘B747-8i’ 역시 올해까지 10대가 순차적 도입되고, 꿈의 항공기라 불리는 ‘B787-9도’ 2019년까지 10대를 보유할 예정이다. 또한 2019년까지 항공기 운영 대수를 현 159대에서 180대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뿐 아니라 더 새로워진 항공기 좌석과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도 지속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퍼스트 및 프레스티지 클래스 좌석과 업그레이드된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장착한 신형 항공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퍼스트 클래스에서 업그레이드해 완벽한 프라이버시 보장과 더 넓은 공간,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스모 스위트’ 좌석, 숨어 있는 좌석을 최대한 활용해 고객 편의를 극대화하고 프라이버시 보장을 강화한 ‘프레스티지 스위트’ 좌석 등 다양한 명품 좌석을 선보이기도 했다.
새로운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도입으로 퍼스트 및 프레스티지 클래스의 리모컨도 터치가 가능한 제품으로 변경하고, 모니터로 영화를 보면서 동시에 다른 작업이 가능한 멀티태스킹 기능까지 도입했다. 이뿐 아니라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위해 다양한 신규 노선을 개설하는 노력도 보이고 있다.
연제성 인턴기자
2017-07-18 5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