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선출 방식 등에 반발하며 탈당 및 무소속 출마까지 검토했던 민주당 이계안 전 의원이 최종적으로 경선 참여 의사를 밝히면서 민주당의 서울시장 후보는 예정대로 6일 정해지게 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 전 의원은 3일 기자회견을 열고 “죽음보다 더 싫은 ‘무늬만 경선’을 거부하고 싶지만, 민주당과 민주개혁세력의 승리를 위해 독배를 든다.”면서 “아무런 조건도 달지 않겠고, 그 결과에 승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당 선관위가 정한 100% 국민여론조사 경선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경선일정 연기와 시민공천배심원제 적용, TV토론 개최 등을 요구해 왔다.
이에 따라 민주당의 서울시장 경선은 한명숙 전 총리와 이 전 의원 사이의 ‘2파전’으로 치러지게 됐다. 민주당은 여론조사기관 두 곳에 의뢰해 4~5일 이틀 동안 일반 서울시민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6일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최대 승부처인 서울시장 경선의 모양새 때문에 속앓이를 하던 지도부도 이 전 의원의 결정을 반겼다. 정세균 대표는 이날 오찬을 위해 김근태 상임고문을 만난 자리에서 “이 전 의원이 선당후사의 결정을 해줘 진심으로 감사하고, 이 노력이 당에 의해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 고문 역시 “이 전 의원이 어려운 결단을 내린 만큼 당의 내부적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정 대표가 각별히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하지만 이 전 의원은 “당과 당 지도부가 같았다면 후보등록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면서 당 지도부를 향해 쓴소리를 서슴지 않았다. 이 전 의원은 기자회견 직후 간담회를 자청해 “솔직히 당 지도부가 힘으로, 패권으로 이긴 것 아니냐.”면서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공정하지 못한 지도부의 의사결정과정은 오래도록 문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탈당까지 검토했다가 마음을 돌린 이유로는 전날 한나라당 정몽준 대표가 한 전 총리를 “TV토론도 못하는 후보”라고 비난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전 의원은 “정 대표의 말을 듣는 순간 ‘내가 한나라당을 도와주고 있구나, 이건 안 된다.’라는 생각이 들었다.”면서 “(현정권 심판이라는)6·2지방선거의 역사성을 들고나오는 것이 참 무서웠는데, 그 말이 맞더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한 전 총리는 치열한 경선 과정 없이 사실상 ‘무혈입성’하게 됐다. 하지만 동시에 ‘베일’에 싸인 채 예선 검증 없이 곧바로 본선 무대에 오르는 것을 두고 단일화 논의가 진행될 다른 야권 후보나 한나라당 후보를 상대로 얼마나 경쟁력을 발휘할지 미지수라는 비판 여론의 부담도 안게 됐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