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류 국민 연락망.대피계획 점검
정부는 18일 밤 서울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박석환 외교부 제1차관 주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리비아 비행금지구역 결의에 대한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이날 회의에는 외교부를 비롯해 청와대, 국무총리실, 국토해양부, 국방부, 지식경제부, 해외건설협회 등의 관계자들이 참석해 안보리 결의안의 내용과 리비아의 반응을 살펴보고 리비아에서 유엔의 군사작전이 벌어질 경우에 대비해 우리 국민의 대피 계획 및 기업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리비아 당국이 모든 군사작전을 중단한다고 발표한 만큼 당장 유엔의 군사작전이 벌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면서도 만약의 상황에 대비해 리비아에 잔류 중인 국민의 연락망과 긴급 대피계획을 점검했다.
특히 카다피군과 반카다피군의 교전이 벌어질 경우 공격의 대상이 되는 시설에서 우리 국민이 안전한 지역으로 이동하도록 권고하기로 했다.
현재 리비아에는 트리폴리 지역이 68명, 미스라타 10명, 시르테 7명, 브레가 1명, 벵가지 26명, 사리르 4명 등 모두 116명의 우리 국민이 체류하고 있다.
정부는 또 우리 기업들은 그동안 주택 및 발전소 공사를 해왔기 때문에 리비아에 대한 국제사회의 경제제재가 시행될 경우 직접적 피해를 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리비아가 군사력을 쓰지 않겠다고 했기 때문에 교민 대피계획을 점검하면서 상황을 계속 주시하기로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