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6일 사퇴를 공식 발표함에 따라 10·26 재보궐 선거에서 새 시장이 선출될 예정인 가운데 차기 서울시장 후보에 한명숙 전 총리와 한나라당 나경원 최고위원이 선두권을 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위부터 4위까지가 모두 여성 후보군으로 채워졌다.
조선일보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명숙 전 총리가 12.4%를 얻어 차기 서울시장 적합도 조사에서 1위를 했다. 한 전 총리는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세훈 시장에게 개표 내내 앞서 가다가 막판에 역전을 허용하며 0.6%포인트 차로 패한 바 있다.
이어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10.6%를 기록하며 오차범위(±4.4%) 내에서 한 전 총리와 접전을 벌였다.
이번 주민투표에 ‘참여했다’고 답한 사람 중에는 나 의원이 서울시장에 적합하다고 꼽은 사람(19.7%)이 가장 많았던 반면 불참자들은 한 전 총리를 가장 많이 지지(19.6%)한 것으로 나타났다.
3~4위는 민주당 추미애(3.9%)·박영선(3.1%) 의원이 각각 차지해 여성 후보 4명이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가 ‘모름’ 또는 ‘무응답’이라고 답해 현재 인물 구도하에서는 유동성이 매우 큰 상황으로 나타났다.
남성 후보 중에서는 ‘서울시장 불출마’를 선언한 한나라당 원희룡 최고위원이 2.8%를 얻어 전체 5위를 기록했다. 이어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2.3%, 민주당 천정배 최고위원 1.9%, 김한길 전 의원과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각각 1.0% 등의 순이었다.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여야 1대1 대결이 될 경우 전체 응답자의 24%는 한나라당에, 23.4%는 야권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모름’ 또는 ‘무응답’이라고 답한 부동층도 52.5%에 달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조선일보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2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명숙 전 총리가 12.4%를 얻어 차기 서울시장 적합도 조사에서 1위를 했다. 한 전 총리는 지난해 서울시장 선거에서 오세훈 시장에게 개표 내내 앞서 가다가 막판에 역전을 허용하며 0.6%포인트 차로 패한 바 있다.
이어 나경원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10.6%를 기록하며 오차범위(±4.4%) 내에서 한 전 총리와 접전을 벌였다.
이번 주민투표에 ‘참여했다’고 답한 사람 중에는 나 의원이 서울시장에 적합하다고 꼽은 사람(19.7%)이 가장 많았던 반면 불참자들은 한 전 총리를 가장 많이 지지(19.6%)한 것으로 나타났다.
3~4위는 민주당 추미애(3.9%)·박영선(3.1%) 의원이 각각 차지해 여성 후보 4명이 상위권을 싹쓸이했다. 그러나 전체 응답자의 과반수가 ‘모름’ 또는 ‘무응답’이라고 답해 현재 인물 구도하에서는 유동성이 매우 큰 상황으로 나타났다.
남성 후보 중에서는 ‘서울시장 불출마’를 선언한 한나라당 원희룡 최고위원이 2.8%를 얻어 전체 5위를 기록했다. 이어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 2.3%, 민주당 천정배 최고위원 1.9%, 김한길 전 의원과 유인촌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각각 1.0% 등의 순이었다.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여야 1대1 대결이 될 경우 전체 응답자의 24%는 한나라당에, 23.4%는 야권 후보에게 투표하겠다고 답했다. ‘모름’ 또는 ‘무응답’이라고 답한 부동층도 52.5%에 달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