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새 서울시장을 선출하는 10ㆍ26 보궐선거를 지원하고 나설지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권의 유력한 대권후보이면서도 지금까지 ‘선거는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른다’는 원칙 하에 일관되게 개입하지 않았지만 이번 보선은 등급이 다르지 않느냐는 인식 때문이다.
특히 보선이 내년 총선ㆍ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전초전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원들은 벌써부터 간절하게 지원을 바라는 눈치다.
김성태 의원은 2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10월 재보선에서는 박 전 대표가 어떤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시 구청장과 시ㆍ구의회에서 야당이 우위를 점하는 상황에서 서울시장이 야권에 넘어간다면 내년 4월 총선이 위험해지므로 박 전 대표가 구당(求黨)에 나서야 한다는 데 상당수 의원들이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지난해말 ‘생애주기에 맞는 맞춤형 복지’로 정치권 복지논쟁에 불을 붙인 그가 ‘복지전쟁’으로 예견되는 이번 보선에 나섬으로써 정책주도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복지라는 보편적 이슈로 서울 시민의 민심을 파고드는 것은 향후 수도권 대선전략까지 고려했을 때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서는 여전히 부정적 기류도 강하다.
박 전 대표가 무상급식 주민투표와는 애초부터 거리를 둬왔다는 것이 가장 큰 부담이다.
선거지원에 나섰는데 보선이 ‘오세훈 심판론’으로 흐른다면 결과적으로 박 전 대표는 입장을 바꿔 뒤늦게 개입하는 모양새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박 전 대표는 앞서 “무상급식은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해야 한다”며 중앙 정치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라는 인식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이를 오 시장의 ‘단계적 무상급식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해석하면서 그가 보선에 개입할 가능성은 더더욱 낮다고 보기도 한다.
또 10월이 정기국회 회기 중이라는 점에서 그가 조용한 정책행보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친박계에서도 이번 보선의 비중 때문에 섣부른 예단은 경계하고 있다.
한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선거 지원 문제를 거론하기는 시점이 너무 이르다”며 “상황을 더 지켜보자. 여러 가지를 고려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친박에서는 박 전 대표가 표를 호소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지원도 가능할 것이라며, 선거전이 ‘복지 대 반(反)복지’의 구도로 형성된다면 복지정책을 강조하는 박 전 대표로서는 나서기가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의 유력한 대권후보이면서도 지금까지 ‘선거는 당 지도부 중심으로 치른다’는 원칙 하에 일관되게 개입하지 않았지만 이번 보선은 등급이 다르지 않느냐는 인식 때문이다.
특히 보선이 내년 총선ㆍ대선의 승패를 좌우할 전초전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원들은 벌써부터 간절하게 지원을 바라는 눈치다.
김성태 의원은 2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10월 재보선에서는 박 전 대표가 어떤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시 구청장과 시ㆍ구의회에서 야당이 우위를 점하는 상황에서 서울시장이 야권에 넘어간다면 내년 4월 총선이 위험해지므로 박 전 대표가 구당(求黨)에 나서야 한다는 데 상당수 의원들이 견해를 같이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지난해말 ‘생애주기에 맞는 맞춤형 복지’로 정치권 복지논쟁에 불을 붙인 그가 ‘복지전쟁’으로 예견되는 이번 보선에 나섬으로써 정책주도권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내놓고 있다.
복지라는 보편적 이슈로 서울 시민의 민심을 파고드는 것은 향후 수도권 대선전략까지 고려했을 때 나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친박(친박근혜) 진영에서는 여전히 부정적 기류도 강하다.
박 전 대표가 무상급식 주민투표와는 애초부터 거리를 둬왔다는 것이 가장 큰 부담이다.
선거지원에 나섰는데 보선이 ‘오세훈 심판론’으로 흐른다면 결과적으로 박 전 대표는 입장을 바꿔 뒤늦게 개입하는 모양새가 된다는 이유에서다.
박 전 대표는 앞서 “무상급식은 지자체마다 사정과 형편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맞춰서 해야 한다”며 중앙 정치가 개입할 사안이 아니라는 인식을 보였다.
일각에서는 이를 오 시장의 ‘단계적 무상급식론’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으로 해석하면서 그가 보선에 개입할 가능성은 더더욱 낮다고 보기도 한다.
또 10월이 정기국회 회기 중이라는 점에서 그가 조용한 정책행보에 집중할 것이라는 관측도 만만치 않다.
그러나 친박계에서도 이번 보선의 비중 때문에 섣부른 예단은 경계하고 있다.
한 의원은 “박 전 대표의 선거 지원 문제를 거론하기는 시점이 너무 이르다”며 “상황을 더 지켜보자. 여러 가지를 고려하지 않겠는가”라고 말했다.
친박에서는 박 전 대표가 표를 호소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져야 지원도 가능할 것이라며, 선거전이 ‘복지 대 반(反)복지’의 구도로 형성된다면 복지정책을 강조하는 박 전 대표로서는 나서기가 어려워지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