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무소속 출마 선택…외연확대 포석

박원순, 무소속 출마 선택…외연확대 포석

입력 2011-10-07 00:00
수정 2011-10-07 15: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당 넘어 시민에 호소…중도층ㆍ친노세력 포용전략인 듯



범야권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가 7일 민주당 입당과 무소속의 갈림길에서 무소속 출마를 선택했다.

박 후보는 민주당의 강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무소속의 길을 택한 이유로 ‘원칙’을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등 야권이 함께 마련한 경선에서 통합후보로 선출된 만큼 야권 연합과 연대의 정신을 살리려면 ‘비정당’ 후보로 출마하는 것이 원칙에 맞다는 것이다.

박 후보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원칙은 양보할 수 없는 것이고 원칙 때문에 손해를 본다면 봐야하는 일”이라고 결심 배경을 설명했다.

박 후보는 특정 정당을 등에 업는 모습 대신 ‘시민후보’ 이미지를 강조하는 전략을 취했다.

그는 “제게는 또 하나의 원칙이 있다”며 “한나라당에는 없는, 하나부터 열까지 시민과 함께 한다는 원칙이다. 그것이 저의 유일한 선거전략”이라고 호소했다.

박 후보가 구체적인 선거전 방식으로 ‘노마드 선거’를 제시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이해된다. 노마드란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것을 의미한다는게 박 후보측의 설명이다. 기성정당의 틀과 논리에 구애받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그는 “선거문화의 판을 완전히 바꿔놓을 생각”이라며 네거티브 선거전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또 “시민을 괴롭히는 선거가 아니고 즐겁고 시민들을 초청하는 선거가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후보가 ‘무소속 시민후보’ 이미지를 부각한 것은 득표전략 측면에서 불리하지 않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이라는 시각이다.

후보단일화 경선을 통해 야권의 대표주자로서 정당성을 얻고 일정한 표심을 확보했기 때문에 외연을 넓히려면 무소속 출마가 더 유리하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박 후보 지지자 중에는 ‘안철수 신드롬’으로 대표되는 무당파, 중도층이 상당수 포함돼 있다는 인식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임상렬 리서치플러스 대표는 “민주당 손학규 대표의 사퇴 파동을 거치면서 민주당 지지층이 박 후보를 지지할 여건이 마련됐다”며 “무소속 출마는 자신의 핵심 지지층인 중도층과 친노(親盧)세력을 감안한 결과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민주당에 입당할 경우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했다는 해석도 있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은 “민주당 지지층은 전략적이어서 후보가 민주당 출신이냐 아니냐에 따른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는다”며 “국민은 반한나라당 정서 못지 않게 반민주당 정서도 강하기 때문에 민주당 프레임에 갇히는 것보다 비민주당 지지자까지 끌어들이는 것이 전략적으로 옳다고 본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