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유권자들은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투표할 후보를 선택하는 최우선 기준으로 ‘시정 운영능력’을 꼽았고,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가 무소속 박원순 후보보다 시정 운영능력이 더 나을 것으로 봤다. 두 번째 기준으로는 ‘도덕성’을 선택했는데, 이 항목에서는 박 후보가 나 후보를 앞섰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서울신문과 엠브레인 조사 결과를 보면 서울시장 후보 선택기준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9.5%가 ‘시정 운영능력’을 꼽았다. 다음으로 꼽은 항목은 ‘도덕성’(15.9%)으로, 시정 운영능력과는 23.6% 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심판’(14.5%), ‘정책공약’(14.2%), ‘야권의 복지포퓰리즘에 대한 심판’(10.0%)이 뒤를 이었다.
지지정당별로는 한나라당 지지자들 가운데 42.7%가 시정 운영능력을 후보 선택기준으로 내세웠고, 16.2%는 야권의 복지포퓰리즘에 대한 심판을 꼽았다. 반면 민주당 지지자들 중에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심판을 최우선 기준으로 생각하는 이들(32.4%)이 가장 많았고, 후보자의 도덕성이 17.6%로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시정 운영능력을 후보 선택의 기준으로 삼은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20대와 30대에서는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심판을 꼽은 이들이 각각 19.0%, 20.2%로, 후보선택 기준 2위에 올랐다. 반면 40대(17.2%), 50대(19.1%), 60대 이상(16.7%)에서는 후보자의 도덕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나경원 후보와 박원순 후보 가운데 누가 더 시정 운영능력이 나을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나 후보가 48.5%를 얻어 32.3%에 그친 박 후보를 넉넉하게 앞섰다.
남성(50.8%)과 여성(46.4%) 모두 나 후보가 시정 운영능력이 더 나을 것으로 생각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30대(44.3%)에서만 박 후보가 시정 운영능력이 나을 것으로 보고, 나머지 연령대에선 모두 나 후보가 앞섰다.
한나라당 지지자 중 77.3%는 나 후보가 시정 운영능력이 더 나을 것으로 봤고, 민주당 지지자 중에서는 58.7%가 박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지지정당을 밝히지 않은 응답자 중에는 38.7%가 나 후보가 국정운영 능력이 더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37.8%는 박 후보가 낫다고 생각해 엇비슷한 비율이었다.
‘나경원 후보와 박원순 후보 가운데 누가 더 도덕성이 낫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박 후보가 43.6%, 나 후보가 32.3%를 차지했다. 남성(42.4%)과 여성(44.8%) 모두 박 후보가 도덕성이 낫다고 생각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57.6%), 30대(58.7%), 40대(53.0%)는 박 후보가 낫다고 봤고, 50대(42.7%)와 60대 이상(46.6%)에서는 나 후보가 낫다고 생각했다.
한나라당 지지자 중 59.3%는 나 후보의 도덕성을 더 높게 생각했고, 민주당 지지자 중 72.7%는 박 후보의 도덕성을 더 높게 봤다. 지지정당을 밝히지 않은 응답자 중에는 박 후보의 도덕성을 높게 평가한 이들이 53.0%였고, 나 후보를 높게 평가한 이들은 21.4%였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