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나경원, 범야권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지지층 이탈율이 한 자릿수대에 그칠 정도로 응집력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두 후보의 지지표 확장이 쉽지 않다는 점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미지 확대
“투표합시다” 서울 종로구 사직동사무소 직원들이 19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 안내문과 선거 홍보물을 발송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투표합시다”
서울 종로구 사직동사무소 직원들이 19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투표 안내문과 선거 홍보물을 발송하기 위한 작업을 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두 후보사이 오간 비율 3.6% 뿐
19일 서울신문·엠브레인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힌 응답자 429명 가운데 ‘한달 전에는 다른 후보를 지지하다 나 후보로 바꾸게 됐다’는 응답자는 나 후보 지지자의 8.2%(35명)로 조사됐다.
변경 전 지지 후보로는 박 후보가 27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민주당 박영선 정책위의장 지지자 5명,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지지자 3명 등이 뒤를 이었다.
또 박 후보 지지자 470명 중에서는 9.3%(44명)가 다른 후보에서 박 후보로 전환했다고 답변했다.
마음을 바꾸기 전에 지지했던 후보로는 10명이 나 후보를 꼽았다. 나머지 대부분은 범야권 후보 단일화 이전에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됐던 박 정책위의장(23명), 안 원장(8명), 민주당 천정배 최고위원(2명) 등이 차지했다. 따라서 나 후보에서 박 후보로, 박 후보에서 나 후보로 갈아탄 지지자는 여론조사 전체 대상자 1000명 중 36명(3.6%)에 불과했다.
●부동층 →35.4% 朴→44.5%
이와 함께 ‘한달 전부터 나 후보를 계속 지지해 왔다’는 응답자는 나 후보 지지자 중 56.4%를 차지했다. 박 후보 지지자 중에서는 46.2%가 변함없는 지지 의사를 밝혔다. 한달 전에는 지지 후보가 없다가 지금은 나 후보와 박 후보를 지지하게 됐다는 응답은 각각 35.4%, 44.5%로 집계됐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