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평화비’ 외교갈등…한일관계 냉각 조짐

‘위안부 평화비’ 외교갈등…한일관계 냉각 조짐

입력 2011-12-14 00:00
수정 2011-12-14 16: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 “평화비 철거해야”..韓 “정부가 나설일 아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14일 예정대로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위안부 평화비를 설치하면서 한일 양국의 외교갈등이 본격화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외교경로를 통해 평화비 철거를 공식 요청하겠다고 밝혔고 우리 정부는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날선 대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 15일로 위안부 청구권 관련 양자협의’를 제안한 지 석달째를 맞는 가운데 한일 양국이 같은 날 언론브리핑를 통해 자국의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여 위안부 청구권 문제가 외교쟁점으로 부상할 전망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한국 시민단체의 일본군 위안부 평화비 설치와 관련 “설치가 강행된 것은 정말 유감”이라고 밝혔다.

후지무라 장관은 또 외교채널을 통해 한국 정부에 위안부 평화비의 철거를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또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은 15일 오후 2시 주한 일본대사관 1층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평화비 설치와 관련한 일본 정부의 입장을 거듭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평화비 설치에 대해 정부가 관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외교통상부 조병제 대변인은 13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가 나설 계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또 일본 정부가 외교시설의 안전과 품위 유지에 협조할 의무를 규정한 빈 협약 22조2항을 거론하고 있는데 대해 “평화비가 과연 이런 품위유지에 어긋나는 사항인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외교부는 15일로 위안부 청구권 분쟁해결을 위한 양자협의를 일본 측에 제안한 지 석달이 됨에 따라 같은 날 오후 2시30분 대변인 정례브리핑을 통해 일본 정부에 양자협의 수용을 거듭 촉구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특히 일본 측이 계속 양자협의 제안을 수용하지 않을 경우 중재절차 돌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분명히 할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당국자는 “위안부 청구권 문제는 일본 정부가 대국적 견지에서 풀어야 될 사항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일본 정부에 외교적 양자협의를 계속 촉구하고 있으며 더 궁극적으로 외교협의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중재위에 회부하는 방안까지도 열어놓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8월 헌법재판소가 위안부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의 외교적 노력이 미흡했다는 결정을 내림에 따라 지난 9월15일 한일청구권 협정 3조(협정의 해석 및 실시에 관한 양국 간 분쟁은 우선 외교상의 경로를 통해 해결하며, 이에 실패했을 때 중재위원회에 회부한다)를 근거로 일본에 양자협의를 공식 제안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아직까지 공식적인 답변을 보내오지 않고 있다.

연합뉴스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희원 의원(동작4,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을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나경원 동작을 국회의원, 박상혁 서울시의회 교육위원장, 정근식 서울시 교육감 등도 함께했다. 이 의원은 이날 정근식 교육감에게 흑석고 남측에 학생 보행로를 추가 조성해줄 것을 촉구했다. 당초 설계상 흑석고 남측 출입문은 차량 진출입 용도로만 계획됐다. 이에 흑석고로 자녀를 진학시킬 예정인 학부모들로부터 통학 편의를 위해 남측에도 보행로를 조성해달라는 민원이 다수 제기된 바 있다. 이 의원은 또한 ▲개교와 동시에 수준 있는 교육이 이뤄지도록 경험이 풍부한 전문교사를 적극 배치할 것 ▲재학생 수가 증가할 것에 대비해 현재 4개 층인 교사동을 5개 층까지 증축할 수 있도록 설계에 반영할 것 ▲안전한 급식실, 과학실 등을 조성해줄 것 ▲면학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내부 디자인을 채용할 것 ▲밝은 색상의 외장 벽돌을 사용해 밝은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것 등을 교육감에게 주문했다. 정근식 교육감은 흑석고 남측 보행로를 포함한 이 의원의 주문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이 의원은 “현
thumbnail - 이희원 서울시의원, 흑석고등학교 건설 현장 방문해 편안하고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 주문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