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고심을 거듭한 끝에 일본 방문을 결정했다.
청와대는 14일 이 대통령이 오는 17, 18일 1박 2일 일정으로 일본 교토를 방문해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대일(對日) 청구권 문제를 놓고 일본과 마찰을 빚고 있는 시점이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논의될지 주목된다. 위안부 문제를 정식 의제에 넣을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 대통령은 어떤 식으로든 이 문제를 거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헌법재판소가 지난 8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배상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분쟁을 해결하지 않은 것을 위헌이라고 판결하자 일본 측에 양자협의를 제안했으나 일본 측은 응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부담과 함께 최근 국내의 복잡한 정국 상황을 감안해 이 대통령의 방일을 취소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방일은 노다 일본 총리가 취임 직후인 지난 10월 첫 외국 방문지로 한국을 택한 데 대한 답방 성격의 셔틀외교”라며 “큰 의미를 둔 정상회담이 아닌 만큼 숙고 끝에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청와대는 14일 이 대통령이 오는 17, 18일 1박 2일 일정으로 일본 교토를 방문해 노다 요시히코 일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일본군 위안부 대일(對日) 청구권 문제를 놓고 일본과 마찰을 빚고 있는 시점이라 한·일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 논의될지 주목된다. 위안부 문제를 정식 의제에 넣을지는 확정되지 않았지만, 이 대통령은 어떤 식으로든 이 문제를 거론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헌법재판소가 지난 8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등의 배상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분쟁을 해결하지 않은 것을 위헌이라고 판결하자 일본 측에 양자협의를 제안했으나 일본 측은 응하지 않고 있다.
청와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부담과 함께 최근 국내의 복잡한 정국 상황을 감안해 이 대통령의 방일을 취소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방일은 노다 일본 총리가 취임 직후인 지난 10월 첫 외국 방문지로 한국을 택한 데 대한 답방 성격의 셔틀외교”라며 “큰 의미를 둔 정상회담이 아닌 만큼 숙고 끝에 예정대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1-12-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