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6일 “우리 사회의 발전적 변화에 어떤 역할을 하면 좋을지 계속 생각중”이라며 “정치도 그 중 하나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6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익재단 설립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안 원장은 계속 “정치와 관련된 질문은 하지 말라”고 주문하며 정치 관련 물음에 웃음으로 일관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6일 오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공익재단 설립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안 원장은 계속 “정치와 관련된 질문은 하지 말라”고 주문하며 정치 관련 물음에 웃음으로 일관했다. 연합뉴스
안 원장은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가진 ‘안철수재단’(가칭) 설립 기자회견에서 그의 향후 행보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변했다.
그는 “앞으로 정치 행보는 없다고 말할 수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제가 정치에 참여하고 안 하고가 본질이 아니라고 본다”며 즉답을 피했다. 이어 “제가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지 평생 끝없이 고민하고 살아온 사람이라는 연장선상에서 생각해 달라”고 덧붙였다.
안 원장의 이 같은 발언은 향후 정치 영역에서 자신이 발전적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참여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겨둔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그러나 기부재단 설립을 대권 행보와 직접 연관짓는 시각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그런 분이 있었느냐. 왜 연결시키는지 잘 모르겠다”며 순수한 재산환원으로 받아들여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안철수재단 운영에 대해서는 “제안자이고 기부자이지만 제 몫은 여기까지”라고 말해, 사실상 불참 의사를 밝혔다.
그는 다만 “재단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재단 행사와 기부문화 증진활동에 대해 도울 수 있는 게 있다면 최선을 다해 역할을 할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한 개인이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는 3분의 2이고, 나머지 3분의 1은 사회가 여건을 만들어줬기 때문에 가능한 게 아닌가 생각한다”며 “그 연장선에서 나의 정당한 몫은 3분의 2가 아닌가 싶다”고 기부 배경을 설명했다.
안 원장은 “나눔이란 많이 가진 사람이 적게 가진 사람,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게 시혜성으로 베푸는 게 아니다”며 “내가 사회로부터 받은 걸 베푸는 게 수평적인 올바름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평생 김밥을 말아서 전 재산을 기부하신 분 등 사회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묵묵히 활동하며 평생 헌신하는 분들이 많다”며 “그 헌신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소중한 것이어서 이 자리가 부끄럽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지만 이 자리에 선 이유는 이런 조그마한 시작이 우리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조그만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안 원장은 “이번을 계기로 함께 사는 사회에서 많은 사람에게 긍정적으로 도움될 수 있는 활동이 활발해지고 기부문화가 확산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부재단 설립은 청춘콘서트를 할 때부터 계획돼 있었다”며 “서울시장 (출마)건만 없었으면 지난해 9월말께 재단 (설립계획을) 발표할 계획이었다”고 소개했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