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직접 추천..‘권력형 비리척결’ 강력의지 반영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27일 대선 중앙선대위의 정치쇄신위원회 위원장에 안대희 전 대법관을 임명한 데에는 정통 특수부 검사 출신으로 ‘부패 척결의 대명사’라는 그의 상징성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안 위원장은 서울지검 특수부장 시절 서울시 버스회사 비리사건, 대형 입시학원비리, 설계감리 비리, 수천억대에 이르는 변인호씨 거액 사기사건 등을 처리해 명성을 날렸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과 사법시험 17회 동기인 그는 참여정부 들어 대검 중수부장이 됐으며 당시 한나라당의 ‘차떼기’ 수사 등 여야 대선자금 전반의 수사를 진두지휘해 ‘국민 검사’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그는 2006년 검찰몫 대법원장에 임명돼 지난 7월 퇴임했다. 안 위원장은 재조 시절 재산 문제 등에 있어 구설에 오를 여지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자기관리를 해왔다는 평가를 받는 인사다.
따라서 박 후보가 안 전 대법관을 앞세워 권력형 비리척결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안팎에 과시하면서 대대적인 정치쇄신을 통해 기존 정치에 대한 혐오를 갖고 있는 국민들의 마음을 사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는 해석이 나온다.
서병수 사무총장은 브리핑에서 “안 위원장은 구태정치를 청산하고 새로운 정치상을 국민에 제시할 것”이라며 “정치권 부패척결과 형사 사건 등에서는 엄격하지만 여성, 난민 등 사회적 약자 보호에서는 적극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고 말했다.
또 “안 위원장이 오는 9월부터 내년 6월까지 미국 스탠퍼드대학에 팰로우십으로 체류하기로 돼 있었지만, 박 후보의 수차례 걸친 완곡한 요청으로 일정을 미루고 새누리당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안 위원장의 영입은 박 후보가 직접 추천했다는 후문이다. 서 총장은 “안 위원장은 미국 연수계획도 있고 여태까지 정치나 정당에 관여하지 않았고 그럴 생각도 없었다”며 “그러다보니 고민하면서 (요청을 수락하는데) 사흘 정도 걸리지 않았나 싶다”고 전했다.
안 위원장은 이러한 박 후보의 신임을 바탕으로 강도높은 정치쇄신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무엇보다 ‘대통령 친인척ㆍ권력형 비리 척결’ 차원에서 더욱 정교하고 실효성있는 특별감찰관제 및 상설특검제를 마련이 우선 과제로 꼽힌다.
서 총장은 ‘친인척 재산 관리’에 대해 “박 후보는 본인을 포함해 친인척, 소위 후보의 측근이라는 사람까지 재산에서부터 시작해 부정부패에 관련됐는지 직접 관리ㆍ감독하기를 원한다”며 “다만 이는 후보의 생각이고 앞으로 정치쇄신위원장이 중심이 돼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쇄신위원회는 아울러 관련 제도를 만들고 조사를 병행할 것이라고 서 총장은 설명했다.
아울러 고위공직자나 정치인의 경우 같은 범죄를 저지르더라도 형량을 더 무겁게 부과하거나 사면을 금지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가 비상대책위원장으로 4ㆍ11총선 공천쇄신 작업을 벌였음에도 최근 ‘공천헌금 파문’이 빚어진 만큼 파격적인 공천 개혁안이 제시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정치쇄신위원회에 참여하는 정치학 교수나 전ㆍ현직 의원, 지역 당협위원장의 전문성과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공천제도 개혁에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중앙당 폐지를 통한 원내정당화와 기초 단체장ㆍ의회의원의 정당공천 폐지 등 올초 비대위에서 언급됐던 공천개혁 방안이 다시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도 거론된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