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경기·인천서 ‘과반’ 기염…文 부·울·경 40% 목표 실패

朴, 경기·인천서 ‘과반’ 기염…文 부·울·경 40% 목표 실패

입력 2012-12-21 00:00
수정 2012-12-21 00: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후보별 승부처 분석

18대 대선의 승부처가 된 지역은 ‘수도권’이었다.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측은 수도권에서 과반을 얻으며 차이를 크게 벌려야 승기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봤고,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최대한 격차를 좁혀야 선방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이미지 확대


그러나 개표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문 전 후보가 우세할 것으로 예상됐던 경기·인천 지역에서 오히려 박 당선인이 과반을 얻으며 앞서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경기에서 박 당선인은 50.4%, 문 전 후보는 49.2%를 획득했고 인천에서 박 당선인은 51.6%, 문 전 후보는 48.0%를 얻었다. 1000만명이 넘는, 가장 많은 유권자가 몰려 있는 지역인 탓에 근소차여도 그 격차는 아프게 다가왔다. 특히 인천은 득표 결과에서 전국 평균 득표율(박 당선인 51.6%, 문 전 후보 48.0%)과 똑같은 수치가 나와 새로운 민심의 저울지로 떠올랐다. 서울 민심도 변수가 됐다. 48.2%를 얻은 박 당선인은 51.4%를 얻은 문 전 후보에게 3.2% 포인트 차이로 뒤지긴 했다. 하지만 서울에서 문 전 후보의 목표치가 55% 이상이었던 터라 서울 득표율은 박 당선인에게 승기를 잡는 호재로 작용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자신의 표밭에서 목표를 달성했느냐, 못 했느냐’가 승부를 갈랐다. 대구·경북(TK)에서 80%만 넘기면 이긴다고 봤던 박 당선인 측은 두 지역에서 각각 80.1%, 80.8%씩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문 전 후보 측은 민주당 표밭인 호남에서 90% 이상 득표를 노렸지만 광주(92.0%)를 제외한 전남, 전북에서 각각 89.3%, 86.3%씩 얻는 데 그쳤다. 대신 박 당선인이 이곳에서 각각 10.0%, 13.2%씩을 얻으며 사상 처음으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하는 기염을 토했다. 앞서 새누리당 대선 후보의 호남 득표 최고 기록은 2007년 이명박 대통령의 8.9%였다. 참여정부 시절 빚어졌던 ‘호남 홀대론’에 대한 문 전 후보의 사과가 있었지만 박 당선인의 ‘호남 탕평인사 약속’처럼 호남 민심을 파고들 ‘당근’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패착으로 분석된다.

문 전 후보는 이번 대선 최대 승부처로 여겨졌던 부산·울산·경남(PK) 지역에서도 목표 달성에 실패했다. 40% 이상 득표를 기대했던 문 전 후보 측은 부산과 울산에서 각각 39.9%, 39.8%씩 얻는 데 머물렀고 경남에서도 36.3%에 그쳤다.

이번 대선에서도 ‘충청 민심을 얻는 자가 대권을 얻는다’는 징크스는 어김없이 통했다. 대전, 충남, 충북, 세종까지 박 당선인이 싹쓸이했다. 충남과 충북에서는 각각 56.7%, 56.2%를 얻었다. 이해찬 전 민주당 대표의 지역구인 세종시에서도 박 당선인이 51.9%를 얻으며 47.6%에 그친 문 전 후보를 이겼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2012-12-2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