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국정조사 특위의 첫날 청문회가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의 증인 불출석으로 무산되자 민주당이 ‘중대 결심’ 카드를 꺼내들고 나섰다.
민주당은 그동안은 원내외병행 투쟁을 벌여왔지만, 청문회 무산을 여권의 ‘방해공작’ 탓으로 돌리면서 이런 상황에선 더이상 국조활동을 통해 얻어낼 게 없다며 전면적 장외투쟁 목소리가 내부에서 커지고 있다. 차라리 국회 밖에서 ‘촛불’의 힘을 최대한 키우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 및 16일 청문회 재개최 관철을 위해 최대한 합의를 끌어내되 이마저 무위로 돌아갈 경우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애초 합의를 깨고 동행명령장 발부까지 거부하고 있고,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채택도 물건너간 상황에서 더이상 허울 뿐인 국조를 끌고가는 것 자체가 무의미 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류에는 ‘원-판’ 청문회가 불발된 가운데 나머지 증인을 대상으로 19일 청문회를 진행해봤자 새누리당이 ‘국정원 여직원 감금 및 매관매직 의혹’을 부각하면서 ‘물타기’를 시도할 것이라는 판단도 깔려 있다.
지도부는 일단 여야간 협의상황을 지켜본 뒤 국조특위 의원들과의 논의를 거쳐 입장을 결정하기로 했다.
특위 소속인 박범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민주당이 국조를 보이콧 하는 게 아니라 ‘원-판’이라는 국기문란 사범들에 의해 국조가 보이콧된 것”이라며 “특위 분위기는 매우 강경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달 중하순에 예정된 결산국회는 물론 9월 정기국회 보이콧 문제까지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그러나 민주당으로선 당장 전면적 장외투쟁을 선언하기 부담스러운 측면도 적지 않다.
우선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이 일단 21일 출석 의사를 피력한 상황에서 민주당이 먼저 판을 깼다는 빌미를 줄 수 있어서다. 또 장외투쟁에 올인할 경우 민생을 외면했다는 역풍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면적 장외투쟁’을 ‘결행’할 경우 특별한 모멘텀이 없는 한 ‘회군’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투쟁이 장기화되면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계속해서 동력을 이어갈 수 있을지도 고민스런 대목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원내 지도부 등 온건파 일각에서는 “국조의 장은 어떤 식으로든 살려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어 강온간 대립도 재연되는 조짐이다.
한 중진 의원은 “어찌됐든 국회 내에서 국조가 유지돼야 장외투쟁도 뒷받침할 수 있다”며 “국조 문을 계속 열어놓고 우리의 입장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그동안은 원내외병행 투쟁을 벌여왔지만, 청문회 무산을 여권의 ‘방해공작’ 탓으로 돌리면서 이런 상황에선 더이상 국조활동을 통해 얻어낼 게 없다며 전면적 장외투쟁 목소리가 내부에서 커지고 있다. 차라리 국회 밖에서 ‘촛불’의 힘을 최대한 키우는데 주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날 오전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는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한 동행명령장 발부 및 16일 청문회 재개최 관철을 위해 최대한 합의를 끌어내되 이마저 무위로 돌아갈 경우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새누리당이 애초 합의를 깨고 동행명령장 발부까지 거부하고 있고,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채택도 물건너간 상황에서 더이상 허울 뿐인 국조를 끌고가는 것 자체가 무의미 하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류에는 ‘원-판’ 청문회가 불발된 가운데 나머지 증인을 대상으로 19일 청문회를 진행해봤자 새누리당이 ‘국정원 여직원 감금 및 매관매직 의혹’을 부각하면서 ‘물타기’를 시도할 것이라는 판단도 깔려 있다.
지도부는 일단 여야간 협의상황을 지켜본 뒤 국조특위 의원들과의 논의를 거쳐 입장을 결정하기로 했다.
특위 소속인 박범계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민주당이 국조를 보이콧 하는 게 아니라 ‘원-판’이라는 국기문란 사범들에 의해 국조가 보이콧된 것”이라며 “특위 분위기는 매우 강경하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이달 중하순에 예정된 결산국회는 물론 9월 정기국회 보이콧 문제까지 연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그러나 민주당으로선 당장 전면적 장외투쟁을 선언하기 부담스러운 측면도 적지 않다.
우선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이 일단 21일 출석 의사를 피력한 상황에서 민주당이 먼저 판을 깼다는 빌미를 줄 수 있어서다. 또 장외투쟁에 올인할 경우 민생을 외면했다는 역풍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전면적 장외투쟁’을 ‘결행’할 경우 특별한 모멘텀이 없는 한 ‘회군’은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투쟁이 장기화되면 피로도가 높아지면서 계속해서 동력을 이어갈 수 있을지도 고민스런 대목이다.
이러한 점 때문에 원내 지도부 등 온건파 일각에서는 “국조의 장은 어떤 식으로든 살려둬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어 강온간 대립도 재연되는 조짐이다.
한 중진 의원은 “어찌됐든 국회 내에서 국조가 유지돼야 장외투쟁도 뒷받침할 수 있다”며 “국조 문을 계속 열어놓고 우리의 입장을 국민에게 알려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