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에 대출 등 ‘생계대책’ 요구
최근 남북관계에 청신호가 켜지면서 개성공단 이외의 지역에서 남북경협 사업을 했던 기업인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남북이 지난 14일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한 데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 날 광복절 경축식에서 이산가족 상봉과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제안하자 남북경협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금강산 관광은 2008년 7월 박왕자씨 피격 사망 사건 이후 5년 넘게 중단됐고 대북위탁가공업 등의 남북경협도 2010년 천안함 사건에 따른 우리 정부의 ‘5·24 조치’로 3년 넘게 발이 묶인 상태다.
한 대북위탁가공업체 대표는 1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면 중단된 남북경협이 재개될 분위기도 만들어질 것으로 본다”며 “정부도 ‘5·24 조치’에 유연성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금강산에서 진행될 경우 금강산관광 재개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요식 금강산기업인협의회 회장은 “우리 바람은 이산가족 상봉이 금강산관광 재개와 연결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업체는 정부에 피해대책을 촉구하는 행동에도 적극 나설 계획이다.
남북경협 기업인들로 구성된 ‘남북경협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달 23일 서울 광화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궐기모임을 하고 남북경협의 활성화와 정부에 생계비 대책을 촉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통일부는 지난 5월 개성공단 이외 지역에서 남북경협에 참여했던 업체들의 실태조사를 했지만 아직 지원대책을 발표하지 않았다.
금강산기업인협의회도 조만간 통일부 장관을 면담하고 금융지원을 요청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