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대통령 눈물은 늦었고, 대책은 너무 빨랐다”

김한길 “대통령 눈물은 늦었고, 대책은 너무 빨랐다”

입력 2014-05-21 00:00
수정 2014-05-21 1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安 “대통령 바뀌지 않으면 예전과 똑같이 될 것”

새정치민주연합 김한길 공동대표는 21일 박근혜 대통령의 세월호 참사 대국민담화에 대해 “대통령의 눈물은 너무 늦었고, 대통령의 대책은 너무 빨랐다”고 비판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전국 시·도당위원장 연석회의’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실종자 수습도 끝나기 전에, 진상조사위 구성 전에 대책을 내놓는 것은 상처를 잘 살피지도 않고 처방을 성급하게 내린 셈”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박 대통령이 해경 해체와 국가안전처 신설 계획 등을 제시한 데 대해 “소 잃고 외양간 없앤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면서 “철저한 진상규명 없이 국가안전처 100개를 만들어도 안전한국은 만들 수 없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대통령과 청와대가 앞으로 어떻게 변하겠다는 말도 없었다”면서 “청와대는 각계 의견을 수렴했다고 하는데 제1 야당의 의견을 구하지 않은 것은 대단히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통령께서 왜 이리도 성급하게 대책을 꺼내놨는지 의아하다”면서 “일부 지적처럼 이번 대통령의 담화가 2주일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를 겨냥한 무리한 결단이 아니었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안철수 공동대표는 “아무리 법과 제도가 바뀌어도 결국 일을 하는 것은 사람”이라면서 “대통령 본인 뿐아니라 대통령 주위 사람들이 바뀌지 않으면 결국 예전과 똑같이 돌아가고 말 것”이라며 전면적인 인적쇄신을 요구했다.

또 “정부와 청와대 자신이 개혁의 대상인데 스스로 개혁안을 만드는 것은 맞지 않다”면서 “국회가 중심되고 국민이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6·4 지방선거와 관련, 김 대표는 “중앙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을 온 국민이 확인한 이상 유능하고 책임있는 지방정부를 꾸리는 일이 더 중요해졌다”면서 “안전한 한국을 만들어내겠다는 우리의 각오와 다짐을 유권자들께 제대로 전해드려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