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전에야 개표가 마무리된 제6대 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은 ‘중원’인 충청권 광역단체장을 한 석도 챙기지 못했다. 현역인 박성효 후보가 출마한 대전마저 새정치민주연합에 내줬다.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연합이 사라진 후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야당이었던 새누리당의 전신 한나라당이 충청권을 모조리 접수한 뒤 8년만에 나타난 ‘싹쓸이’ 현상이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자유선진당과 합당한 새누리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충청권 선전을 내심 기대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과거 ‘세종시 원안 고수’로 대선시 박 대통령의 손을 들어줬던 세종시마저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의 압승으로 결론났다.
세월호 참사 이후 민심이 싸늘하게 돌아서긴 했지만 한두곳 정도는 기대해볼만 하다는 게 꾸준한 자체 분석이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중원의 평가는 냉정했다. 경합우세를 점쳤던 세종특별자치장 선거에선 새정치민주연합이춘희 후보가 57.78%를 득표, 새누리당 유한식 후보를 15%포인트 넘게 제쳤다.
이날 새벽 개표 막판까지 7표, 10표차로 엎치락뒤치락했던 충청북도지사 선거 역시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후보가 새누리당 윤진식 후보를 2만여표 차로 가까스로 이겼다.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선 ‘친박’인 새누리당 정진석 후보가 ‘친노’ 핵심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후보에게 8%포인트 차로 크게 졌고, 현역 박성효 시장이 출마한 대전도 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후보에게 빼앗겼다.
그간 ‘싹쓸이’가 모두 보수정당에 대한 몰아주기였다면 이번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뿌리를 둔 새정치민주연합이 그 수혜를 차지한게 특징이다.
후보 개인별로도 안희정·이춘희 후보는 모두 친노계로 분류되고, 권선택 후보는 자유선진당 출신이긴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청와대에 근무했다.
일각에선 이번 선거 결과는 전적으로 ‘관피아 척결’을 내세운 박근혜 정부에 대한 공무원 집단의 불만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결과라는 시각도 나온다. 공무원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은 세종특별자치장 선거 결과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세종시와 대전 모두 공무원이 사실상 표의 흐름을 좌우하는 지역”이라며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국정 개혁과 ‘관피아’ 척결에 대해 공무원 사회의 강한 반발이 드러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충청권을 기반으로 한 자유민주연합이 사라진 후 2006년 지방선거에서 당시 야당이었던 새누리당의 전신 한나라당이 충청권을 모조리 접수한 뒤 8년만에 나타난 ‘싹쓸이’ 현상이다.
지난 대선을 앞두고 자유선진당과 합당한 새누리당은 이번 지방선거에서 충청권 선전을 내심 기대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과거 ‘세종시 원안 고수’로 대선시 박 대통령의 손을 들어줬던 세종시마저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의 압승으로 결론났다.
세월호 참사 이후 민심이 싸늘하게 돌아서긴 했지만 한두곳 정도는 기대해볼만 하다는 게 꾸준한 자체 분석이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중원의 평가는 냉정했다. 경합우세를 점쳤던 세종특별자치장 선거에선 새정치민주연합이춘희 후보가 57.78%를 득표, 새누리당 유한식 후보를 15%포인트 넘게 제쳤다.
이날 새벽 개표 막판까지 7표, 10표차로 엎치락뒤치락했던 충청북도지사 선거 역시 새정치민주연합 이시종 후보가 새누리당 윤진식 후보를 2만여표 차로 가까스로 이겼다.
충청남도지사 선거에선 ‘친박’인 새누리당 정진석 후보가 ‘친노’ 핵심 새정치민주연합 안희정 후보에게 8%포인트 차로 크게 졌고, 현역 박성효 시장이 출마한 대전도 새정치민주연합 권선택 후보에게 빼앗겼다.
그간 ‘싹쓸이’가 모두 보수정당에 대한 몰아주기였다면 이번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뿌리를 둔 새정치민주연합이 그 수혜를 차지한게 특징이다.
후보 개인별로도 안희정·이춘희 후보는 모두 친노계로 분류되고, 권선택 후보는 자유선진당 출신이긴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집권 당시 청와대에 근무했다.
일각에선 이번 선거 결과는 전적으로 ‘관피아 척결’을 내세운 박근혜 정부에 대한 공무원 집단의 불만이 집단적으로 표출된 결과라는 시각도 나온다. 공무원 비율이 절대적으로 높은 세종특별자치장 선거 결과가 이를 단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이다.
한 여권 관계자는 “세종시와 대전 모두 공무원이 사실상 표의 흐름을 좌우하는 지역”이라며 “박근혜 정부가 내세운 국정 개혁과 ‘관피아’ 척결에 대해 공무원 사회의 강한 반발이 드러난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