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문창극 사태’ 엿새째 침묵…곤혹감속 사태주시

與 ‘문창극 사태’ 엿새째 침묵…곤혹감속 사태주시

입력 2014-06-23 00:00
수정 2014-06-23 1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진사퇴 압박 속 일부 “청문회까지는 가야”정치인 후임 총리설 고개…이완구 원내대표 거론

새누리당은 23일에도 ‘문창극 사태’와 관련해 침묵했다. 문 총리 후보자에 대해 사실상 반대한다는 쪽으로 당내 분위기가 정리된 이후 내리 엿새째다.

박근혜 대통령 귀국 이후 주말을 넘겼지만 문 후보자가 “기다리겠다”는 입장 이외에는 별다른 태도 변화를 보이지 않자 곤혹스러운 기색만 한층 뚜렷해졌다.

비상대책위원회가 오전 열리긴 했지만 당직자들은 여전히 이 문제를 피해갔다.

내부적으로는 여러 통로를 통해 문 후보자에게 자진 사퇴를 포함한 결단을 타진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딱 뿌러진 답변을 얻어내지는 못했다는 게 유력한 관측이다.

새누리당은 일단 금명간 현재의 꼼짝할 수 없는 답보 상태를 벗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으나, 답답한 속내까지는 감추지 못했다.

핵심 당직자는 “오늘이나 내일 중 기류 변화가 있지 않을까 싶다”면서 “더 넘기면 청와대와 여권, 문 후보자 모두 힘들어진다”며 자진사퇴 가능성을 시사했다.

당청 관계에 정통한 또 다른 관계자는 “당 분위기는 대부분 돌아섰지만 문 후보자는 아직도 ‘에어포켓’을 찾아다니는 것 같다”며 “어차피 안 물러날 사람이라면 지명철회도 방법”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에 대한 청문 요청안 재가를 놓고 장고에 들어가면서 상황에 대한 해석 자체가 한층 분분해졌다.

총리 지명철회는 모든 책임이 청와대에 돌아가는 만큼 문 후보의 결단을 우회적으로 압박하고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렸지만, 일부에서는 청문 요청 자체를 아예 배제한 상황은 아니라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한 관계자는 “김기춘 비서실장 이하 청와대 참모들은 사퇴카드를 꺼내들었지만, 박 대통령은 여러 명분을 고려할 때 ‘문창극 청문회’ 강행까지를 포함해 숙고중인 상황인 것 같다”면서 “이미 정치적으로 입을 수 있는 타격은 모두 입었기 때문에 국가 인사시스템을 존중하는 차원에서는 일단 청문회까지는 가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다만 어떤 경로를 거치더라도 문 후보자가 결국 낙마할 수밖에 없다는 데에 여권 전반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부인할 수 없어 보인다.

또 다른 관계자는 “문 후보자가 결국 낙마할 것으로는 다들 생각하고 있다”면서 “어떻게 물러나는 것이 정치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인지가 문제일 뿐”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내부적으로는 문 후보자 낙마를 전제로 후임 총리에 대한 하마평이 조심스레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인 총리 후보로서 김문수 전 경기지사의 발탁설이 거론됐지만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자리를 맡은 지 얼마되지 않은 것이 부담이지만 이완구 원내대표 차출설도 무게있게 나도는 상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