험로앞둔 이완구 총리 인준 협의할듯’시선분산 효과’ 시각도朴대통령-김무성·유승민, 2007년 대선경선후 사실상 첫 정국논의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청와대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를 만난다. 신임 원내지도부 구성에 따른 상견례 자리다. ‘2007년 동지’들이 돌고돌아 한 자리에 모이게 됐다.그러나 위치와 입장은 달라졌다. 당시엔 대권주자와 참모로서 수직적 관계가 불가피했지만, 이젠 대통령과 집권여당 지도부로서 형식적으론 수평선상에 섰다. 본인들 의도와 무관하게 김 대표와 유 원내대표에겐 ‘비주류 지도부’라는 딱지까지 붙었다. 할 말은 하는 사이가 질적 변화가 이뤄진 것이다.
박 대통령과 김 대표가 제대로 마주하기는 올해 들어 처음이다. 신년인사회 등 공식 행사에서 마주친 것을 제외하면, 두 사람이 제대로 대화를 나눈 것은 지난해 12월7일 예산안 통과 직후 당 지도부와 예산결산특위 위원들 청와대 오찬이 마지막이었다.
연말정산 환급금 축소 문제를 비롯해 증세와 복지 문제를 놓고 굵직한 현안이 잇달아 터져나왔지만 지난해 연말 이후 당청간 소통은 사실상 전무라고 해도 좋을 만큼 단절 상황을 이어왔다.
박 대통령과 유 원내대표는 지난해 9월 대구 방문 당시 만난 이후로 처음 만난다. 당선 당일 유 원내대표가 박 대통령에게 전화를 걸어 짧게 통화만 성사됐다.
세 사람이 같이 모인 것만 따지면 시간은 더 거슬러 올라간다. 지난해 1월 박 대통령이 여당 의원 전원을 청와대에 초청해 만찬할 당시 배석하긴 했지만, 실질적으로 한 자리에서 정국을 논의한 것은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까지로 회귀한다.
당 안팎에선 신임 원내지도부 구성 직후부터 박 대통령과 새 지도부가 언제 회동할지 이목이 집중돼 왔다. 특히 박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증세없는 복지’ 문제를 놓고 당청이 갈등을 빚으며 조속한 회동 필요성이 제기된 것도 사실이다.
다만 박 대통령이 전날 여의도발 증세론에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린 이후 당장 회동 가능성은 낮게 점쳐졌다. 대통령 심경이 만나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란 해석이 공공연히 나돌았다.
이 때문에 이날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를 만나는 것은 전격적이면서도 의외라는 평가가 많다. 공교롭게 도 이완구 총리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와 일정이 겹친 것도 구구한 해석을 낳는 상황이다.
애초 무난한 통과를 기대했지만 부동산 투기 의혹에 본인과 차남의 병역면제, 논문표절, 언론외압 의혹까지 터져나오며 청문 전망이 험로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총리 인준 이후로 느긋하게 계획했던 일정을 당긴 것은 이번에도 총리 인준이 무산되면 떠안게 될 국정 부담이 치명적인 만큼, 박 대통령이 여당 지도부를 먼저 만나 인준에 대한 협조를 우선 당부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인준을 대비한 ‘집단 표단속’의 의미가 있다는 해석이 나오는 것은 이런 연유에서다.
야당의 강공이 예상되는 만큼 청문회에 쏠리는 이목을 분산시키는 것도 기대할만한 효과다.
물론 박 대통령과 여당 새 지도부가 상견례를 겸해 처음 만나는 만큼 청문회 이외에도 국정 전반에 걸친 의견 교환도 이뤄질 전망이다.
박 대통령이 시급한 현안으로 지적한 경제살리기와 관련해 협조를 당부하고 이에 여당도 화답할 가능성이 크고, 증세와 복지 문제를 놓고도 양측이 각자의 입장을 개진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과 뜻이 다르지 않다며 중재자로 나선 김 대표와 달리 유 원내대표가 거듭 ‘중부담 중복지’ 기조를 굽히지 않을 경우 첫 만남부터 웃음기 가신 토론이 벌어질 수도 있다.
총리 인준 이후로 잡혀있는 개각 및 김기춘 비서실장 후임을 포함한 인적쇄신 문제가 직접 언급될 가능성은 크지 않지만, 일부 의견 개진은 이뤄질 수 있다. 당정청 소통강화 필요성은 꾸준히 제기된 만큼 이 문제와 관련해 진전된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