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속 고위공직자 지갑 ‘두둑’…10명중 7명 재산증가

불황속 고위공직자 지갑 ‘두둑’…10명중 7명 재산증가

입력 2015-03-26 09:08
수정 2015-03-26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경기불황 속에서도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이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고위공직자 2천302명의 정기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관보에 공개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015년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한 26일 오전 국회사무처 직원들이 재산공개 내역이 담긴 국회 공보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연합뉴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015년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한 26일 오전 국회사무처 직원들이 재산공개 내역이 담긴 국회 공보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연합뉴스


인사혁신처 임만규 윤리복무국장이 2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대상자 1천825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공개와 관련해 브리핑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사혁신처 임만규 윤리복무국장이 2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대상자 1천825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공개와 관련해 브리핑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고 내역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관, 고위공무원, 선관위 상임위원 등 2천302명의 평균 재산은 15억3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평균 재산액(13억2천만원)에 비해 2억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특히 3%대 저성장 기조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서민 체감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고위공직자의 69%인 1천583명의 재산이 늘었다.

무엇보다 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공직자 재산 증가를 이끌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증가요인으로 ▲개별공시지가 4.07% 상승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3.73% 상승 ▲급여저축 등 3가지를 꼽았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의원은 134명, 5억원 이상 증식한 의원은 12명이었다.

500억원 이상 자산가인 새누리당 김세연 박덕흠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을 제외한 재산평균액은 전년도보다 1억2천100만원 증가한 19억2천7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당별 평균재산은 새누리당 24억3천만원, 새정치민주연합 13억3천만원, 정의당 4억2천만원이었다.

중앙·지방정부 고위공직자를 망라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대상자(1천825명) 중에서는 66%인 1천212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2억9천2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9천400만원 늘었다.

재산신고 금액별로는 ▲50억원 이상 52명(2.8%) ▲20억∼50억원 269명(14.7%) ▲10억∼20억원 398명(21.8%) ▲5억∼10억원 497명(27.2%) ▲1억∼5억원 489명(26.8%) ▲1억원 미만 120명(6.6%) 이었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공직자는 공개대상의 31.1%인 377명에 달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서전 등 인세수입 증가와 급여 저축 등으로 3억3천592만원 증가한 31억6천950만원을 신고했다. 이완구 국무총리의 재산신고액은 전년보다 7천393만원 감소한 11억3천67만원이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박근혜 정부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18억5천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7명의 평균 재산은 18억1천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억2천만원 상당 증가했다.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인사 167명 중 119명(71.3%)도 재산이 증가했다. 1억원 이상 불린 사람은 40명이다.

고위 법관 재산공개 대상자인 154명의 평균 재산은 19억7천502만원이었다. 이 중 101명(65.6%)이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다. 헌법재판관 9명의 평균 재산은 17억3천181만원으로 집계됐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각각 39억2천750만원과 14억740만원을 신고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경우 재산공개 대상자 18명의 평균 재산은 6억원이었고, 13명의 재산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보다 재산이 107만원 증가했으나 여전히 빚이 재산보다 6억8천만원 많았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억3천만원 증가한 6억3천만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자치구체육회 회장단 간담회 성공리 끝마쳐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이종배 위원장 직무대리(국민의힘, 비례대표)를 비롯한 위원들은 지난 18일 지역 체육 현안 해결을 위해 자치구 체육단체장들과 머리를 맞대며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를 대표해 이종배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 직무대리와 김규남 의원, 김형재 의원, 유정희 의원이 참석했으며, 자치구 체육회에서는 이정섭 광진구체육회장, 이정식 강북구체육회장, 채종태 강서구체육회 부회장, 김영주 관악구체육회장 직무대행, 허대무 강남구체육회장, 한동인 동대문구체육회 사무국장, 조성준 송파구체육회 사무국장이 자리했다. 참석자들은 먼저 지역별로 겪고 있는 공통 문제로 체육시설 부족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실제로 구에서 구민을 수용할 만한 체육시설이 부재하여 구민 체육대회 개최가 어렵다는 고충이 있으며, 지역을 대표하는 자치구체육회에게 우선대관 및 이용료 감면 혜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덧붙였다. 또한 자치구 구청장 및 체육회장배 대회 운영을 위한 지원금이 코로나-19 이후 동결되어 현실화 필요성도 지적됐다. 특히 보조금사업의 한계로 용품 구입이 제한되는 점 또한 언급하면서 행정적 규제 개선의 목소리도 함께
thumbnail -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자치구체육회 회장단 간담회 성공리 끝마쳐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