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속 고위공직자 지갑 ‘두둑’…10명중 7명 재산증가

불황속 고위공직자 지갑 ‘두둑’…10명중 7명 재산증가

입력 2015-03-26 09:08
수정 2015-03-26 10: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경기불황 속에서도 우리나라 고위공직자 10명 가운데 7명이 재산을 불린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대법원·헌법재판소·정부·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직자윤리위원회는 26일 고위공직자 2천302명의 정기재산변동 신고 내용을 관보에 공개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015년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한 26일 오전 국회사무처 직원들이 재산공개 내역이 담긴 국회 공보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연합뉴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가 2015년 국회의원 재산변동 신고 내역을 공개한 26일 오전 국회사무처 직원들이 재산공개 내역이 담긴 국회 공보를 살펴보고 있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연합뉴스


인사혁신처 임만규 윤리복무국장이 2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대상자 1천825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공개와 관련해 브리핑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사혁신처 임만규 윤리복무국장이 25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공개대상자 1천825명에 대한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 공개와 관련해 브리핑 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고 내역에 따르면 국회의원, 법관, 고위공무원, 선관위 상임위원 등 2천302명의 평균 재산은 15억3천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도 평균 재산액(13억2천만원)에 비해 2억원 이상 증가한 것이다.

특히 3%대 저성장 기조가 수년간 이어지면서 서민 체감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상황 속에서도 고위공직자의 69%인 1천583명의 재산이 늘었다.

무엇보다 토지와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 상승이 공직자 재산 증가를 이끌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증가요인으로 ▲개별공시지가 4.07% 상승 ▲개별단독주택 공시가격 3.73% 상승 ▲급여저축 등 3가지를 꼽았다.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내역에 따르면 지난 2월말 재산을 등록한 의원 292명 가운데 81.8%인 239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는 전년도 재산증가 의원 비율 64.5%에서 크게 오른 것이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의원은 134명, 5억원 이상 증식한 의원은 12명이었다.

500억원 이상 자산가인 새누리당 김세연 박덕흠 의원과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의원을 제외한 재산평균액은 전년도보다 1억2천100만원 증가한 19억2천700만원으로 나타났다.

정당별 평균재산은 새누리당 24억3천만원, 새정치민주연합 13억3천만원, 정의당 4억2천만원이었다.

중앙·지방정부 고위공직자를 망라한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공개대상자(1천825명) 중에서는 66%인 1천212명의 재산이 증가했다.

이들의 평균 재산은 12억9천200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9천400만원 늘었다.

재산신고 금액별로는 ▲50억원 이상 52명(2.8%) ▲20억∼50억원 269명(14.7%) ▲10억∼20억원 398명(21.8%) ▲5억∼10억원 497명(27.2%) ▲1억∼5억원 489명(26.8%) ▲1억원 미만 120명(6.6%) 이었다.

1억원 이상 재산을 불린 공직자는 공개대상의 31.1%인 377명에 달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자서전 등 인세수입 증가와 급여 저축 등으로 3억3천592만원 증가한 31억6천950만원을 신고했다. 이완구 국무총리의 재산신고액은 전년보다 7천393만원 감소한 11억3천67만원이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박근혜 정부 국무위원의 평균 재산은 18억5천만원이었고, 장관급 인사 27명의 평균 재산은 18억1천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2억2천만원 상당 증가했다.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 고위 법관과 헌법재판관 등 사법부 고위 인사 167명 중 119명(71.3%)도 재산이 증가했다. 1억원 이상 불린 사람은 40명이다.

고위 법관 재산공개 대상자인 154명의 평균 재산은 19억7천502만원이었다. 이 중 101명(65.6%)이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했다. 헌법재판관 9명의 평균 재산은 17억3천181만원으로 집계됐다.

양승태 대법원장과 박한철 헌법재판소장은 각각 39억2천750만원과 14억740만원을 신고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경우 재산공개 대상자 18명의 평균 재산은 6억원이었고, 13명의 재산이 전년보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해보다 재산이 107만원 증가했으나 여전히 빚이 재산보다 6억8천만원 많았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1억3천만원 증가한 6억3천만원으로 집계됐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래미안2차아파트 경로당 방문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8일 남가좌1동 래미안2차아파트 경로당을 방문, 어르신들과 소통하며 경로당 운영에 관한 민원을 청취했다고 밝혔다. 이날 방문에는 이나령 남가좌1동장도 함께했다. 이의린 회장을 비롯한 경로당 어르신들은 김 의원을 반갑게 맞이하며 다양한 의견을 전했다. 어르신들은 현재 월 90만원의 지원금으로는 점심, 다과, 놀이, 간식 등을 해결하기에 매우 부족해 회비 각출과 주변의 지원 및 보조로 운영하는 어려움을 토로했다. 특히 경로당 구성원들의 다양한 취미를 존중하여 노래방 기기 설치를 요청했으며, 13년 된 냉장고 교체 등 노후화된 시설 개선에 대한 민원도 제기했다. 김 의원은 “누구나 세월에 따라 늙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국가 발전에 기여하신 사회적 약자인 어르신들에게 더 나은 대우와 경로효친 정신을 실천하는 것이 우리 사회가 함께 발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시의원으로서 서울시 예산 확보 등을 통해 어르신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경로당 운영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남가좌1동 래미안2차아파트 경로당 방문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