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여론조사-공무원연금 개혁] “복지 개선 위한 증세 반대” 48% “찬성” 45%

[단독] [여론조사-공무원연금 개혁] “복지 개선 위한 증세 반대” 48% “찬성” 45%

입력 2015-04-06 00:22
수정 2015-04-06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별 지원’ 53% vs ‘보편 지원’ 37%…두 답변 격차 12월보다 16%P로 줄어

올해 초 정치권을 뜨겁게 달궜던 ‘증세 없는 복지’ 논쟁과 관련, 국민 여론도 팽팽하게 엇갈렸다. 복지 개선을 위해 지금보다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다소 그렇지 않다’ 22.6%, ‘전혀 그렇지 않다’ 25.9% 등 부정적인 답변이 전체의 48.5%를 차지했다. ‘매우 그렇다’ 10.0%, ‘다소 그렇다’ 35.1% 등 긍정적인 응답도 45.1%에 달했다. 무응답 비율은 6.4%였다.


부정 답변은 대구·경북(50.0%), 여성(59.0%), 20대(56.8%)와 30대(57.0%), 농림축산업(57.3%) 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 반응은 광주·전라(47.1%), 남성(57.1%), 50대(52.3%)와 60대 이상(51.1%), 자영업(59.1%) 등에서 많았다.

또 복지 정책의 방향을 ‘선별적 지원으로 바꿔야 한다’는 견해가 53.5%로, ‘보편적 지원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 37.2%를 앞질렀다. 무응답 비율은 9.3%였다. 다만 지난해 12월 실시한 여론조사와 비교할 때 두 답변 간 격차는 30.5% 포인트(선별적 지원 62.8%, 보편적 지원 32.3%)에서 16.3% 포인트로 줄어들었다.

특히 ‘무상급식 중단’ 논란을 겪고 있는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선별적 지원(50.0%)과 보편적 지원(39.3%) 간 격차가 더욱 좁혀졌다. 선별적 지원은 대구·경북(56.8%), 여성(55.1%), 50대(67.1%)와 60대 이상(65.2%), 농림축산업(66.0%), 새누리당 지지층(65.3%) 등에서 높았다. 반면 보편적 지원은 광주·전라(44.6%), 남성(40.6%), 40대(55.2%), 화이트칼라(45.1%), 진보층(52.2%) 등에서 많았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4-0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