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여론조사-공무원연금 개혁] “복지 개선 위한 증세 반대” 48% “찬성” 45%

[단독] [여론조사-공무원연금 개혁] “복지 개선 위한 증세 반대” 48% “찬성” 45%

입력 2015-04-06 00:22
수정 2015-04-06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별 지원’ 53% vs ‘보편 지원’ 37%…두 답변 격차 12월보다 16%P로 줄어

올해 초 정치권을 뜨겁게 달궜던 ‘증세 없는 복지’ 논쟁과 관련, 국민 여론도 팽팽하게 엇갈렸다. 복지 개선을 위해 지금보다 세금을 더 낼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다소 그렇지 않다’ 22.6%, ‘전혀 그렇지 않다’ 25.9% 등 부정적인 답변이 전체의 48.5%를 차지했다. ‘매우 그렇다’ 10.0%, ‘다소 그렇다’ 35.1% 등 긍정적인 응답도 45.1%에 달했다. 무응답 비율은 6.4%였다.


부정 답변은 대구·경북(50.0%), 여성(59.0%), 20대(56.8%)와 30대(57.0%), 농림축산업(57.3%) 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긍정 반응은 광주·전라(47.1%), 남성(57.1%), 50대(52.3%)와 60대 이상(51.1%), 자영업(59.1%) 등에서 많았다.

또 복지 정책의 방향을 ‘선별적 지원으로 바꿔야 한다’는 견해가 53.5%로, ‘보편적 지원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 37.2%를 앞질렀다. 무응답 비율은 9.3%였다. 다만 지난해 12월 실시한 여론조사와 비교할 때 두 답변 간 격차는 30.5% 포인트(선별적 지원 62.8%, 보편적 지원 32.3%)에서 16.3% 포인트로 줄어들었다.

특히 ‘무상급식 중단’ 논란을 겪고 있는 부산·울산·경남에서는 선별적 지원(50.0%)과 보편적 지원(39.3%) 간 격차가 더욱 좁혀졌다. 선별적 지원은 대구·경북(56.8%), 여성(55.1%), 50대(67.1%)와 60대 이상(65.2%), 농림축산업(66.0%), 새누리당 지지층(65.3%) 등에서 높았다. 반면 보편적 지원은 광주·전라(44.6%), 남성(40.6%), 40대(55.2%), 화이트칼라(45.1%), 진보층(52.2%) 등에서 많았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4-0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