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완종 사태’ 진화 대책 부심 속 특검 도입 내부 이견김용태 “총리, 검찰보고 받는 것 중단하는 것 검토해야”
새누리당이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조기 진화 대책에 부심하는 가운데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도입 문제를 놓고 내부 이견이 불거지는 양상이다.당 지도부는 검찰의 철저한 수사에 방점을 두면서 야당 일각에서 주장하는 특검 도입에 대해서는 일단 유보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는 반면에 친이계를 중심으로 한 소장파들은 조기 특검 도입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놓고 있다.
특히 일부 의원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가 요구한 ‘리스트 당사자들의 직무 중단’에 대해서도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는 주장까지 내놨다.
김무성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는 1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등에서 한목소리로 전날 박근혜 대통령이 밝힌 ‘성역없는 검찰 수사’를 재차 강조하면서 필요하면 특검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검찰이 명운과 명예를 걸고 밝힌 뒤 국민이 결과를 판단할 것”이라면서 “그때 가서 이해가 안 간다면 특검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태호 최고위원도 회의에서 “검찰은 한 점의 의혹도 없이 철저하게 밝혀내야 한다”면서 “설혹 특검으로 이어지더라도 (검찰) 수사 결과가 한 치의 오차도 없었다는 것을 분명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번 파문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입장인 친이계를 중심으로 소장파 의원들은 좀더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차제에 국민적 의혹을 해소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놨다.
초재선 의원 모임인 ‘아침소리’는 이날 오전 모임을 갖고 ‘성완종 리스트 파문’과 관련해 현·전 정권의 정경유착 의혹을 뿌리 뽑기 위해 특검을 실시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이완영 의원이 전했다.
이 모임 소속 하태경 의원은 “여야 대표가 모두 특검은 뒤로 미루자는 말을 했는데 상당히 안이하다”면서 “야권에서 현 청와대 비서실장과 총리 직무를 중단하라는 주장이 나왔는데 그러려면 차라리 특검으로 바로 가면 된다”고 말했다.
김용태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 “총리는 내각을 통할하므로, 이 문제를 조사하는 대검, 법무장관, 총리, 대통령으로 이어지는 보고체계에 들어가 있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직무 전체를 정지하거나 직무를 완전히 벗어나는 건 적절치 않지만 이 사건과 관련해서 보고받는 건 중단하는 것을 검토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다만 “이것이 법률적으로 가능한지를 살펴본 연후에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내놔야 한다”고 전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