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도 외면당한 문재인, 대권가도 최대 위기

광주서도 외면당한 문재인, 대권가도 최대 위기

입력 2015-04-30 07:04
수정 2015-04-30 07: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표 취임 이후 첫 시험대서 선거 참패 성적표

호남發 야권 재편·당내 책임론 대처가 과제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29일 재보선에서 패장의 멍에를 짊어지게 됐다.

전당대회 때 내걸었던 ‘이기는 정당론’은 온데간데없이 재보선 패배 책임론에 직면하면서 리더십이 급격히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출범 석 달도 되지 않은 문재인 호(號)가 바닥부터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지난 2·8 전당대회 당시 자신의 이후 정치 행보에 ‘세 차례의 죽을 고비’를 예상했던 문 대표로선 첫번째 고비(전당대회에서 당 대표로 선출되는 것)는 넘겼지만, 두번째 고비(당을 안정·재건시키는 것) 앞에서 위기를 맞게 된 셈이다.

당내 리더십이 흔들릴 뿐 아니라 ‘1등 대권 주자’라는 위상도 큰 상처를 입게 됐다.

야권의 심장부인 광주 서을을 지키지 못하면서, 호남 지역의 싸늘한 민심을 거듭 확인했기 때문이다.

호남 민심을 돌리지 못했다는 점은 문 대표로서는 이후 대권 행보에서 계속 발목을 잡힐 수 있는 대목이다.

특히 성완종 파문의 반사 효과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여론을 유리하게 이끄는 데 실패한 점이 뼈아프다.

일각에선 문 대표가 선거 기조를 ‘경제정당론’에서 ‘정권심판론’으로 급선회한 게 섣불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재보선 일정을 고려해 공세의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지만, 문 대표가 페이스를 너무 끌어올렸다가 제풀에 지쳤다는 것이다.

문 대표가 이완구 전 총리 해임건의안 카드를 너무 빨리 꺼내 결과적으로 ‘호재’를 조기에 소멸시켰다거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에 대한 사면 특혜 논란이 불거졌을 때 미숙하게 대응했다는 비판이 당 안팎에서 흘러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단 문 대표는 후폭풍을 차단하면서 전열을 정비하는 데 진력할 것으로 보이지만, 앞길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

당장 비노(비노무현) 진영에선 지난해 7·30 재보선의 패배에 김한길·안철수 공동대표가 책임지고 물러난 만큼, 문 대표가 어떻게든 책임을 져야 한다는 주장이 고개를 들 수 있다.

다만, 여야의 대립이 극심한 ‘성완종 정국’에서 자중지란만은 피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아 당장 문 대표 체제가 크게 동요하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문 대표는 재보선 당일 참패 결과에 대한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았다. 문 대표는 30일 우윤근 원내대표 주재로 열리기로 했던 당 정책조정회의에 예정에 없이 참석하기로 해 이 자리에서 선거 패배에 대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