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15일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남북 민간단체들이 공동 추진하기로 했던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기념 민족공동행사가 사실상 무산됐다.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는 2일 북측 준비위가 지난 1일 서신을 보내 6·15 공동행사를 지역별로 분산 개최하자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남측 준비위가 아직 북측의 제안에 대한 최종 입장을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행사가 이제 열흘 가량 남은 상황에서 북측이 명시적으로 분산 개최 의사를 밝힌 만큼 성사는 극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측 준비위는 서신에서 “남측 당국은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경우에 (6·15 행사를) 허용할 것”이라며 “행사를 서울에서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을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측 준비위는 또 “남측 당국의 근본 입장에서 변화가 없는 한 설사 행사 준비를 위한 실무 접촉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좋은 결실을 가져올 수 없을 것”이라고 단정했다.
결국 북한은 사전 접촉 당시부터 양측의 의견 충돌의 원인으로 거론되온 행사 장소와 함께 행사 성격에 대한 남한 당국의 방침을 구실로 분산 개최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남북 준비위는 지난달 5∼7일 중국 선양(沈陽)에서 사전 접촉을 갖고 6·15 공동선언 15주년과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 개최에 합의했으나 당시 장소 문제는 완전히 확정하지 못했다.
중국에서 가진 실무 접촉에서 양측은 우선 6·15 공동행사는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는 행사 장소를 두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로 70주년을 맞는 8·15 공동행사의 개최 장소는 민족 정통성을 과시할 수 있다는 상징성이 큰 행사인 만큼 남북한 어느 쪽도 쉽사리 양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우리 정부도 남측 준비위에 6·15 공동행사는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평양에서 개최하고 8·15 행사는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소 등을 둘러싼 의견 충돌이 빚어지면서 접촉 이후 남측 준비위 관계자가 “6·15 공동행사가 잘 되겠느냐는 북측의 의구심이 컸다”며 “따라서 8·15 공동행사 개최지 문제 등은 거의 협의를 하지 못했다”고 협의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이후 남측 준비위는 지난달 14일 6.15 공동행사 준비를 위해 19~20일 개성에서 만나자는 ‘추가 실무접촉’을 제안했다.
6·15 공동행사의 실질적인 준비를 위한 첫 걸음이었다.
하지만 북측 준비위는 이튿날 대변인 담화를 통해 8·15 공동행사 평양 개최를 양보할 수 없고, ‘정치색’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공동개최 무산을 시사했다.
북측은 담화에서 남한 정부가 8·15 행사를 서울에서 하자고 강요했다면서 행사 장소 결정 과정에 대한 불만을 노출했다.
북측은 또 공동행사에 대한 남한 당국의 기본 방침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공동행사를 순수한 사회문화 교류 차원으로 치를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후의 협상은 사실상 남측 준비위가 접촉을 제안하고, 북측은 이에 아무런 답변을 보내지 않는 과정의 연속이었다.
개성에서의 추가 접촉이 무산된 이후 남측 준비위는 수차례 북측에 “북측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접촉을 하자”고 했지만 묵묵부답이었다.
남측 준비위는 결국 지난달 21일 상임대표 회의에서 북측의 입장을 수용, 8·15 공동행사를 평양에서 하되 이와 관련한 서울 행사에 북한이 참가단을 파견하는 ‘중재안’까지 마련했지만 접촉이 이뤄지지 않아 북측에 정식 통보하지도 못했다.
여기에 최근 북한이 다양한 매체를 동원해 험악한 표현을 남발하며 남한 정부를 비난하는 상황도 공동행사 개최에 부정적인 여건을 조성했다.
결국 이날 북측이 공동행사 무산을 시사한 지 보름여 만에 분산 개최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달 사전접촉 이후 남측 준비위가 공들여 추진해온 6·15 공동행사는 장소와 행사 성격이라는 두개의 암초를 만나 사실상 무산되고 말았다.
일각에서는 올해 남북측 준비위가 진행하기로 합의한 다양한 공동 행사의 첫 단추인 6.15 공동행사가 이대로 무산되면 이후의 다른 행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 남측 준비위는 “북측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민족공동행사 성사를 위해서 준비위는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마지막까지 공동행사 성사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광복 70돌, 6·15 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는 2일 북측 준비위가 지난 1일 서신을 보내 6·15 공동행사를 지역별로 분산 개최하자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남측 준비위가 아직 북측의 제안에 대한 최종 입장을 정리하지는 못했지만, 행사가 이제 열흘 가량 남은 상황에서 북측이 명시적으로 분산 개최 의사를 밝힌 만큼 성사는 극히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북측 준비위는 서신에서 “남측 당국은 순수한 사회문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경우에 (6·15 행사를) 허용할 것”이라며 “행사를 서울에서 한다는 것에 대한 입장을 아직 밝히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북측 준비위는 또 “남측 당국의 근본 입장에서 변화가 없는 한 설사 행사 준비를 위한 실무 접촉을 진행한다 하더라도 좋은 결실을 가져올 수 없을 것”이라고 단정했다.
결국 북한은 사전 접촉 당시부터 양측의 의견 충돌의 원인으로 거론되온 행사 장소와 함께 행사 성격에 대한 남한 당국의 방침을 구실로 분산 개최 의사를 분명히 한 것이다.
앞서 남북 준비위는 지난달 5∼7일 중국 선양(沈陽)에서 사전 접촉을 갖고 6·15 공동선언 15주년과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 개최에 합의했으나 당시 장소 문제는 완전히 확정하지 못했다.
중국에서 가진 실무 접촉에서 양측은 우선 6·15 공동행사는 서울에서 개최하기로 잠정 합의했지만, 8·15 광복 70주년 공동행사는 행사 장소를 두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로 70주년을 맞는 8·15 공동행사의 개최 장소는 민족 정통성을 과시할 수 있다는 상징성이 큰 행사인 만큼 남북한 어느 쪽도 쉽사리 양보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우리 정부도 남측 준비위에 6·15 공동행사는 그동안의 관례에 따라 평양에서 개최하고 8·15 행사는 서울에서 개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장소 등을 둘러싼 의견 충돌이 빚어지면서 접촉 이후 남측 준비위 관계자가 “6·15 공동행사가 잘 되겠느냐는 북측의 의구심이 컸다”며 “따라서 8·15 공동행사 개최지 문제 등은 거의 협의를 하지 못했다”고 협의 분위기를 전하기도 했다.
이후 남측 준비위는 지난달 14일 6.15 공동행사 준비를 위해 19~20일 개성에서 만나자는 ‘추가 실무접촉’을 제안했다.
6·15 공동행사의 실질적인 준비를 위한 첫 걸음이었다.
하지만 북측 준비위는 이튿날 대변인 담화를 통해 8·15 공동행사 평양 개최를 양보할 수 없고, ‘정치색’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 공동개최 무산을 시사했다.
북측은 담화에서 남한 정부가 8·15 행사를 서울에서 하자고 강요했다면서 행사 장소 결정 과정에 대한 불만을 노출했다.
북측은 또 공동행사에 대한 남한 당국의 기본 방침에 대해서도 분명한 반대 의사를 밝혔다. 공동행사를 순수한 사회문화 교류 차원으로 치를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후의 협상은 사실상 남측 준비위가 접촉을 제안하고, 북측은 이에 아무런 답변을 보내지 않는 과정의 연속이었다.
개성에서의 추가 접촉이 무산된 이후 남측 준비위는 수차례 북측에 “북측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접촉을 하자”고 했지만 묵묵부답이었다.
남측 준비위는 결국 지난달 21일 상임대표 회의에서 북측의 입장을 수용, 8·15 공동행사를 평양에서 하되 이와 관련한 서울 행사에 북한이 참가단을 파견하는 ‘중재안’까지 마련했지만 접촉이 이뤄지지 않아 북측에 정식 통보하지도 못했다.
여기에 최근 북한이 다양한 매체를 동원해 험악한 표현을 남발하며 남한 정부를 비난하는 상황도 공동행사 개최에 부정적인 여건을 조성했다.
결국 이날 북측이 공동행사 무산을 시사한 지 보름여 만에 분산 개최 의사를 밝히면서 지난달 사전접촉 이후 남측 준비위가 공들여 추진해온 6·15 공동행사는 장소와 행사 성격이라는 두개의 암초를 만나 사실상 무산되고 말았다.
일각에서는 올해 남북측 준비위가 진행하기로 합의한 다양한 공동 행사의 첫 단추인 6.15 공동행사가 이대로 무산되면 이후의 다른 행사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 남측 준비위는 “북측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민족공동행사 성사를 위해서 준비위는 더욱 노력할 것”이라며 마지막까지 공동행사 성사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