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세 野혁신위원 이동학 인터뷰
이동학(33)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은 “청년에게까지 계파색을 씌우는 것은 어른들이 할 일은 아닌 것 같다”면서 계파 프레임으로 ‘김상곤 혁신위’를 바라보는 시각에 우려를 나타냈다. 청년 몫으로 혁신위에 발탁된 그는 “혁신의 가장 중요한 초점은 청년세대가 많이 들어와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라고도 했다. 혁신위 첫 회의가 열린 지난 12일 의원회관에서 가진 이 위원과의 일문일답.
이동학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당원이 24만여명이라고 하는데 전수조사를 할 수도 있다. 일일이 전화조사를 해서, 예컨대 실제 당원이 7000명밖에 안 된다고 해도 거기에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당원들이 재미있게 당 생활을 하고 이슈에 대해 얘기하고, 정책으로도 반영되는 시스템으로 가야 한다. 지금은 선거 때 동원되는 것뿐이다. 당원들에게 ‘해 달라, 와 달라, 봐 달라’밖에 없다.
→계파 문제, 친노(친노무현) 패권주의에 대해 어떻게 바라보나.
-외부에서 만들어진 측면이 있지만, 친노 패권도 존재하고, 비노(비노무현) 패권도 존재하는 것 같다. 2006년 대학생정책자문단을 처음 만들었는데 당시 대표와 일면식도 없는 저를 ‘정세균계’라고 했다. 그다음 해 대선에서는 “정동영계로 갈아탔냐”고 하고, 손학규 전 대표의 종로 선거를 도우니 “손학규계가 됐냐”고 했다. 이 당을 통해 나라를 바꾸고 싶은 본질을 보지 않고 계파를 통해 한자리 차지하려는 사람으로만 보려고 한다. 이번에는 “이동학은 친노”라고 한다. 어린 청년에게까지 계파색을 씌우는 것은 어르신들이 할 일은 아닌 것 같다. 이런 것도 정면으로 설득해 나갈 것이다.
→‘호남·486 물갈이론’이 확대재생산되고 있다.
-누구를 지칭해서, “486을 쳐내야 한다”는 등의 혁신 작업이 진행되는 것은 온당치 않다. 일단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진행하면 된다. 문제는 원칙을 세워도 그 원칙대로 진행되지 않는 것이다. 그게 혁신의 포인트다. 486이든 누구든, 원칙을 정하고 원칙에 맞지 않는 인물은 누구도 예외가 돼서는 안 된다.
→4월 청년위원장 선거에서 486세대에 대해 얘기했다. 이들이 물갈이 대상이라고 생각하나.
-‘486세대가 무능하다, 무엇을 했냐’는 비판 밑에 우리 세대가 그 얘기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이 있다. ‘우리도 무능하다. 그래서 우리도 실력을 쌓고 486과 경쟁해서 이기자’는 뜻이다. 우리 세대 스스로 대안이 되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고 선배들에게 왜 기회를 주지 않느냐고만 한다. 우리 세대가 철저히 반성할 부분이다.
→혁신위원 이름도 생소하고 “저들이 무엇을 할 수 있느냐”는 의구심도 있다.
-회의에서 위원들을 유심히 봤는데 계파색을 띠거나 그러한 마음으로 혁신위에 온 분은 없는 것 같다. 혁신위를 흔들면 다 흔들린다. 지금은 신뢰를 보낼 때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2015-06-15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