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하태경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 발언 논란

입력 2015-06-16 10:45
수정 2015-06-16 1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늑장정부, 은폐삼성…나라전체가 봉숭아학당”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
새누리당 하태경 의원이 16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을 ‘똥볼원순’이라고 지칭해 ‘막말’ 논란이 일었다.

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에 출연, 박 시장의 지난 4일 긴급 기자회견을 비판하면서 “이번에 메르스 대응을 보면 나라 전체가 지금 봉숭아학당”이라면서 “늑장정부에 은폐 삼성, 박원순 시장은 똥볼원순”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이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35번 환자)와 접촉했던 것으로 추정된 1천565명을 전원 격리했으나 감염자가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이게 완전히 엉뚱한 곳에 똥볼을 찬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른바 ‘슈퍼전파자’로 판명난 14번 환자를 역학조사할 시간에 35번 환자 접촉자에 대한 격리에 집중했다며 “지자체가 협력해도 힘이 모자랄 판에 서울시만 엉뚱한 곳에 공을 차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똥볼을 세게 차서 사회에 경각심을 일깨운 것은 있다”고 전제한뒤 “(그러나) 박 시장이 찬 볼이 정확하게 골대로 들어간 게 하나도 없다”고 거듭 비판했다.

하 의원의 발언과 관련, 한때 박 시장을 ‘똥볼원숭이’라고 지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커졌으며, 이후 ‘원숭이’가 아닌 ‘원순’이었다고 정정하는 해프닝이 벌어지기도 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이날도 박 시장의 메르스 대응 방식에 대해 정략적인 접근이라며 강도높은 공세를 이어갔다.

의사 출신의 박인순 의원은 MBC라디오에서 최근 상태가 악화된 것으로 알려진 35번 환자를 언급한 뒤 “박 시장의 기자회견 이후 극도의 스트레스가 면역력을 떨어뜨려 바이러스 증식을 더 심화시켰을 수도 있지 않았을까 조심스럽게 추측해 본다”고 말했다.

박대출 당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채 “일부 야권의 지도급 인사들이 불안을 조장하고 정치적인 시선을 끌려는 처신은 사태 해결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메르스는 정치인 개인의 정치 디딤돌로 삼을 대상이 아님을 인식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