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했는데도 최저임금 이하?…청년 절반 “열정페이 경험”

일했는데도 최저임금 이하?…청년 절반 “열정페이 경험”

입력 2015-06-24 10:40
수정 2015-06-24 1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청년위 실태조사…최저임금이상 급여 4명 중 한 명꼴 불과

청년 절반 이상이 이른바 ‘열정 페이’를 경험했으며 일부는 실질적으로 일했는데도 최저 임금 이하의 급여를 받거나 아예 급여를 받지 못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통령직속 청년위원회가 만 19~34세 청년 5천2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24일 발표한 ‘청년 열정 페이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의 절반이 넘는 53.6%(2천799명)가 “열정 페이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열정 페이’는 다른 직원들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근무를 하는데도 인턴, 수습, 교육생 등이라는 이유로 급여 등에서 정당한 대우를 받지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열정 페이 경험을 했다고 한 청년(2천799명) 중 세부 질문에 답한 응답자(2천127명) 가운데 57.5%(1천223명)는 “실질적으로 일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들 중 25.2%만 최저 임금 이상의 급여를 받았고 나머지는 최저임금 미만(42.6%)의 대가를 받거나 무급(32.2%)이었다고 답했다.

열정 페이를 경험한 직장 유형별로는 근로자수 50인 미만 중소기업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로는 서비스업과 사무직, 예술·공연분야가 많았다.

열정 페이 경험자(2천127명)들은 열정 페이를 받았을 때 힘든 점으로 ‘낮은 임금(27%)’과 ‘배우는 게 없다는 점(18.7%)’, ‘불안정한 미래(16.4%)’ 등을 꼽았다. 또 36.2%는 “열정 페이 근무가 자신의 역량 개발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그러나 열정 페이 경험자 절반 이상(58.9%)은 부당한 대우에도 불구하고 ‘참았다’고 답했고, 일을 그만두거나(27.2%) 담당자에게 건의(7%)하는 등의 적극적 대처를 했다는 응답자는 30%를 조금 넘는 등 많지 않았다.

또 열정 페이 경험자들은 열정 페이 자체에 대해 ‘부당하지만 이 역시 사회생활(41.1%)’, ‘하고 싶은 일이니 괜찮다(13.9%)’, ‘어쩔 수 없다(11.3%)’ 등의 순으로 답변했다.

이들은 열정 페이 문화가 개선되기 위해서는 고용주 및 사회의 인식변화와 함께 제도적 보호장치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청년위는 열정 페이와 관련, 청년들의 인턴 등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여름 방학을 맞아 ‘윈-윈(Win-Win)페이’ 안내서를 청년들과 고용주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안내서에는 청년들의 권리와 이 권리가 침해됐을 때 도움을 청할 수 있는 기관 등의 내용이 담겨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