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정안 자동폐기 가능성 높아 대책 ‘부심’’어게인 세종시특별법’…비박과 연대 주장도
새정치민주연합은 30일 정의화 국회의장이 국회법 개정안을 다음 달 6일 부의하기로 한 데 따라 국회에 복귀하고 새누리당에 대해서는 표결 참여를 요구하며 2단계 압박에 착수했다.하지만 새누리당의 표결 불참 입장이 확고해 국회법 개정안이 자동폐기될 것으로 보여 지도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2010년 세종시특별법 수정안 부결 사례에 이어 새누리당 내 비박(비박근혜)계와의 연대 카드를 뽑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 경우 5년 전 연대 대상이 친박계였던 데 비해 이번에는 비박계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반대 상황이 연출될 수도 있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본회의 의사일정이 결정된 데 대해 “저희가 지속적으로 요구한 내용에 대해 일부라도 수용해주신 데 대해 감사하고 환영한다”며 국회 정상화 방침을 밝혔다.
이춘석 원내수석부대표는 “어려운 결정을 한 정 의장에게 감사한다”고 한 뒤 새누리당의 표결 참여를 압박했다.
이 원내수석부대표는 “대통령은 사유화된 권력을 지키기 위한 정쟁을 멈추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유승민 원내대표 뒤에 숨지 말고 여야 합의 정신에 대해 당당히 책임질 것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여야가 합의하고 212표라는 압도적 찬성으로 통과시키고도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태도를 바꾸는 여당과 앞으로 어떻게 대화하겠나”라며 “떳떳하게 표결에 참여하는 결기를 보여달라”고 촉구했다.
이석현 국회부의장은 “우리 국민은 지금 메르스와 경제 난국 앞에서도 당파 싸움에 여념없는 새누리당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하고 있다”며 “새누리당은 오는 6일 당당하게 투표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새누리당에 공이 넘어갔다. 국회 정상화와 입법부 위상 확립은 새누리당에 달렸다”며 “김무성 대표는 들어간다고 했는데 유 원내대표는 표결 참여가 아니라고 했다.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재의에 참여하면 당연히 투표해야 한다. 입장만 했다가 퇴장하겠다는 말인가”라며 “새누리당이 야당과 국민을 상대로 꼼수를 쓰려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국회법 개정안 거부권 파문이 2010년 세종시특별법 수정안 부결 사례의 ‘재판’이 될 수 있다는 언급도 나와 주목된다.
박지원 의원은 페이스북 글에서 2010년 세종시특별법 수정안 정국에서 친박(친박근혜)계와 함께 부결에 나선 과정을 언급하며 “당시 대통령은 MB(이명박 전 대통령)이었고 반란은 같은 당 소속인 박근혜 의원 등 친박과 야당이 손잡았다. 배신의 정치? 유승민 (원내)대표?”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당시 박 대통령이 반대토론에 나선 데 대해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떼국넘이 번다’는 말이 스쳐갔다”고도 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서는 여권 내 친박 내 비박 갈등의 틈새를 노려 비박계와 손잡고 국회법 개정안의 재의결을 강행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다만 여당이 표결 불참을 선언한 상황에서 이 같은 전략이 통할 가능성은 낮아서 야당으로선 결국 ‘빈손’으로 이번 국회를 마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당 지도부는 개정안이 재의결에서 결국 부결될 경우 ‘전면전’ 방침을 세웠지만 ‘발목잡기’라는 여론의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점도 강경투쟁을 망설이게 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