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평양 주재 외교관들에 대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나 북한 체제를 비방하는 내용이 담긴 모든 매체의 반입을 금지했다.
영국 외무부는 22일 ‘2015 상반기 북한인권 보고서’에서 북한 외무성 의례국(의전국)이 지난달 26일 평양 주재 외교 사절과 국제기구에 이 같은 내용의 통지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북한은 ‘최고지도자(김정은 제1위원장)’ 뿐만 아니라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사진과 영화, 문학작품도 일절 반입할 수 없도록 했다.
반입 불가 대상에는 인쇄물과 휴대전화, 컴퓨터 저장장치 등 사실상 모든 매체가 포함된다.
영국 외무부는 “북한의 이런 조치는 국제인권기준을 위반하는 것”이라면서 “북한이 계속해서 인권과 관련한 국제의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올해 상반기 북한의 인권과 관련한 태도에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고 평가했다.
영국 외무부는 지난 3월 ‘2014 인권과 민주주의’ 보고서를 내고 표현의 자유 등 인간의 기본적인 자유가 극도로 제한돼 있다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북한을 인권우려국으로 분류했다.
영국은 지난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한 측에 인권상황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영국 외무부는 22일 ‘2015 상반기 북한인권 보고서’에서 북한 외무성 의례국(의전국)이 지난달 26일 평양 주재 외교 사절과 국제기구에 이 같은 내용의 통지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북한은 ‘최고지도자(김정은 제1위원장)’ 뿐만 아니라 북한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의 사진과 영화, 문학작품도 일절 반입할 수 없도록 했다.
반입 불가 대상에는 인쇄물과 휴대전화, 컴퓨터 저장장치 등 사실상 모든 매체가 포함된다.
영국 외무부는 “북한의 이런 조치는 국제인권기준을 위반하는 것”이라면서 “북한이 계속해서 인권과 관련한 국제의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올해 상반기 북한의 인권과 관련한 태도에 눈에 띄는 변화는 없었다”고 평가했다.
영국 외무부는 지난 3월 ‘2014 인권과 민주주의’ 보고서를 내고 표현의 자유 등 인간의 기본적인 자유가 극도로 제한돼 있다며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북한을 인권우려국으로 분류했다.
영국은 지난해 기회가 있을 때마다 북한 측에 인권상황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