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자 24%, 후유증 시달려”

“이산가족 상봉자 24%, 후유증 시달려”

입력 2015-11-30 15:40
수정 2015-11-30 15: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북측 가족 만난 412명 설문…맞춤형 지원할동 벌이기로

지난달 20∼26일 남북 이산가족 상봉 행사에 참여한 남측 가족들의 24%가 상봉 후유증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적십자사(한적)는 상봉 행사에서 북측 가족을 만난 남측 이산가족 412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일부터 13일까지 상봉 후 건강 및 심리 상태를 전화로 설문조사한 결과 24%가 일상생활에 불편을 느낀다고 답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들은 불편 사항으로 불면증(11%), 무력감·건강 악화(각각 7%) 등을 꼽았다.

또 북한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나 우울증(각각 5%)에도 시달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76%는 별다른 불편이 없다고 대답했다.

상봉 후 현재 심정을 묻는 말에 61%는 ‘기쁘다’고 답한 반면 39%는 ‘기쁘지 않다’고 응답했다.

기쁜 이유는 ‘죽은 줄 알았는데 살아 있는 것을 확인해서’(35%), ‘잘 사는 것을 확인해서’(26%), ‘평생 한을 푼 것 같아서’(17%), ‘통일에 대한 기대감’(11%) 등이었다.

기쁘지 않은 이유로는 ‘북의 가족이 고생해온 것 같아서’(19%), ‘상봉시간이 짧아 아쉬웠기 때문’(17%), ‘마지막 만남이라는 생각 때문’(15%) 등이 거론됐다.

응답자들은 현 상봉행사에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상봉 기간에 계속 같이 있게 해줘야’(58%), ‘행사성이 아닌 개별적인 가족 대 가족 만남이 돼야’(48%), ‘금강산 이외의 장소에서 상봉 희망’(29%), ‘상봉 시간과 횟수 증가’(20%) 등을 지목했다.

또 이산가족문제의 해결을 위해 편지교환 제도화(61%), 상봉 정례화(36%), 거동 불편자를 위한 화상상봉 제도화(35%), 생사 및 주소 확인(23%) 등이 이뤄지길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적은 방문 상담을 원하는 195명의 이산가족을 대상으로 다음 달 말까지 전문 인력과 적십자사 직원을 해당 가정에 파견해 맞춤형 ‘심리사회적 지지’(PSS)활동을 펼치기로 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