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 탈당 결심 굳히나…文과 최종 담판 여부 주목

安 탈당 결심 굳히나…文과 최종 담판 여부 주목

입력 2015-12-11 13:29
수정 2015-12-11 1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安측 다수 “당 잔류 근거 찾기 어렵다” 탈당에 무게일각선 “분열책임론 부담”…文-安 막판 담판 가능성 제기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거취와 관련한 결단이 멀지 않은 가운데 결국 탈당을 선택할 것이란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당내 각종 중재안이나 문재인 대표의 ‘혁신 제스처’에 대해 안 전 대표 본인은 전혀 반응하지 않고 있지만, 측근 그룹에서는 탈당을 피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기류가 한층 강해졌다.

야권의 운명을 가를 결정을 앞두고 문 대표와 안 전 대표의 마지막 담판이 성사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안 전 대표측 관계자는 1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탈당 가능성에 대해 “아직 모른다”면서도 사견을 전제로 “상황이 이미 그렇게(탈당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다른 측근도 탈당 전망과 관련해 “현재 상태에서 당에 잔류하기에는 상황이 좀 선을 넘은 것 아닌가”라며 “한명숙 전 총리의 당적 정리나 측근 불출마는 애초에 당연한 건데, 그걸로 문 대표가 혁신 의지를 보였다고 할 수 있느냐”라고 말했다.

이 측근은 당내 계파들의 중재 시도에 대해서도 “별다른 내용이 없는 상황에서 안 전 대표가 당에 남을 만한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고 평가했다.

안 전 대표 측에서는 탈당 결행을 통해 달라진 ‘강철수(강한 안철수) 리더십’을 과시하고 혁신의 의지를 재부각함으로써 ‘새정치 버전2.0’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는 판단도 있다.

반면 당내 혁신을 끝까지 성공시키지 못한 채 야권의 분열을 초래했다는 비판은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일각에서는 잔류 가능성도 점치고 있지만, 그렇게 되면 ‘혁신 기치’를 내리고 ‘철수(撤收)정치’를 택하는 모양새가 되는 최악의 수가 될 것이란 우려가 크다.

다만 이 경우에도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려고 희생했다는 명분을 얻고 제1야당이라는 든든한 배경은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없지 않다.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막판 극적으로 안 전 대표와 문 대표의 담판이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일단 안 전 대표 측은 “언제든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지만, 문 대표가 앞에서는 손을 내밀고 뒤에서는 혁신의 의지를 의심케 하고 있다”며 불신을 드러냈다.

하지만 안 전 대표 측 내에서도 당내 중재 흐름과 야권 분열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고려해 문 대표를 다시 만나 최종적으로 의사를 타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없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안 전 대표 측은 거취 관련 입장을 발표할 시기로 오는 13일을 유력하게 꼽고 있다.

다만 일부 측근들 사이에서는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나온다. 오는 14일 열릴 예정인 중앙위원회 결과를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한 측근은 “현재 상황이 우리에게 나쁠 것은 없다고 본다”며 “다음 주초에 발표될 가능성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고, 다른 측근은 “중재의 손을 뿌리칠 수도 없고, 마냥 시간을 끌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안 전 대표는 칩거 닷새째인 이날도 여전히 행방이 묘연한 상태이다.

지금까지 안 전 대표는 서울 근교에서 숙고 중인 것으로 전해졌지만, 처가가 있는 여수를 방문했다는 설도 끊이지 않고 있다.

안 전 대표 측에서는 “안 전 대표의 위치에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조만간 알리려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