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 도미노… 다음은 누가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한 안철수 의원이 정치 세력화를 선언한 가운데 누가 추가로 탈당할지 관심이 쏠린다. 비주류 쪽에서는 “연말까지 최대 50명이 당을 떠날 수 있다”는 말도 나오지만 주류 측은 ‘찻잔 속 태풍’으로 의미를 축소하는 분위기다.‘탈당 1순위’ 문병호 의원은 당을 떠날 시점을 명확히 했다. 문 의원은 “15일 기자회견을 갖기로 했고 논의를 통해 함께할 사람이 있으면 같이 (탈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뒤이어 “이번 주중 수도권과 호남의 현역 의원 5~10명이 1차 탈당에 나설 것이고 연말까지 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명 규합에는 문제가 없다. 최대 30명까지도 내다보고 있다”고 자신했다. 문 의원은 지난해 안 의원이 당대표로 있을 때 비서실장을 지낸 인연이 있다. 안 의원도 ‘2·8 전당대회’ 당시 최고위원 후보로 나선 문 의원을 적극 도왔다.
문재인 대표와 ‘악연’이 있는 일부 호남 의원들도 탈당을 기정사실화했다. 유성엽, 황주홍 의원은 최근 당내 당무감사를 거부하고, 문 대표에 대한 징계를 청원할 만큼 대립각을 세워 왔다. 유 의원은 “(탈당이) 불가피하지 않겠나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야권도 80년대 민주화시대 논리에서 벗어나 국민들이 갈망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어야 한다”고 했다. 오랫동안 ‘문재인 사퇴’를 요구한 김동철 의원도 “문 대표 체제로는 총선 승리를 하지 못한다고 보는 의원들은 대부분 당을 떠날 것”이라며 “우리가 하기에 따라서 40~50명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탈당 시점은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탈당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거론되는 비주류·호남 의원들이 곧바로 탈당행에 몸을 싣기보다는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유보적 태도를 취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당 전략홍보본부장을 맡고 있는 주류 측 안규백 의원은 “연말이 되더라도 (탈당은) 한 자릿수에 머물 것”이라며 “탈당을 하기에는 대외적인 명분이 약하다”고 했다. 결국은 안철수 의원의 정치세력화가 얼마나 파괴력을 가질지에 따라 추가 탈당자의 숫자가 좌우될 전망이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5-12-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