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 107석 목표, 미달시 대표직 사퇴”

패널 질문에 답변하는 김종인.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세종대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토론회에서 패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2016.3.16 연합뉴스.
다만 김 대표는 “정의당 뿐 아니라 국민의당과도 지역구에서 우열이 가려질 것 같으면 거기에서 서로 협의해서 연대는 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해 지역구 연대의 여지는 남겼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중견언론인 모임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당내 공천 문제, 야권연대, 총선전략, 개헌 가능성, 박근혜 정부에 대한 평가, 차기 대선, 경제 정책, 대북 정책 등에 대한 질문에 자신의 소신을 밝혔다.
우선 김 대표는 4·13 총선 목표 의석수에 대해 “현재 가진 의석수(107석) 정도만 확보하면 선전했다고 판단한다”며 목표 미달시 대표직 사퇴 의사를 밝혔다.
김 대표는 이해찬 전 국무총리의 공천 배제에 대해 “굳이 제가 이해찬 의원을 쳐야 할 개인적인 감정이나 그런 게 있는 게 아니다. 그런데 전반적으로 선거를 생각해 보면 경쟁력 문제도 생각해야겠고, 어느 한 사람의 위치로 인해 선거에 미치는 영향도 생각해야겠고. 그런 측면에서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문재인 전 대표와 사전 상의가 있었냐는 질문에는 “통화는 했다”면서 “(문재인 전 대표가) 나보고 어떻게 할 거냐는 질문을 하길래 ‘그건 나에게 맡겨놓고 더 이상 얘기하지 말라’고 했다”고 밝혔다.
김 대표는 야권연대의 불가능성에 대해 “수도권 야권연대 하려면 지역구를 분할해야 한다. 분할해서 여론조사 등 후보 정해야 하는데 그럴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이런 확신 갖고 있다. 국민의당이 제3당으로 됐다고 해도 유권자들의 판단에 맡길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여당의 개헌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금 정치 현실을 봐서 새누리당에서 개헌 논의가 자꾸 나오는 것은 새누리당에 마땅한 대통령 후보가 없어서 내각제 비슷하게 해서 정권 연장하려는 취지에서 개헌 논의가 나온다고 생각한다”면서 “개헌이 꼭 이뤄질 거라고 장담은 할 수 없다”고 밝혔다.
개헌 및 권력 구조에 대해서는 “지난 30년 동안 대통령 직선제를 해서 왔는데, 그동안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실질적 문제를 대통령들이 하나도 해결을 못했다”면서 “정치 체제 자체를 바꿔볼 필요가 있지 않느냐. 내각제를 하게 되면 정당이 현재와 같은 수준을 갖고는 내각제 되기 힘들다. 정당도 노력을 하고 정치인들도 책임도 더 많이 돌아가기 때문에 노력을 하지 않겠냐는 측면에서 봤을 때 내각제 권력구조라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문재인, 박원순, 안철수, 반기문, 김무성 등 차기 대선 주자로 거론되는 정치인들에 대해서도 평가했다. 특히 김 대표는 “문재인 의원이나 안철수 의원이나 정치경력이 짧으신 분들이다. 안철수 의원은 정치를 좀 더 쉽게 생각하지 않느냐는 느낌을 받는다”면서 “정치적으로 성숙이 더 되면 대통령 후보가 돼서 대통령이 돼도 괜찮지 않느냐 생각한다”고 밝혔다.
경제 정책에 대해 김 대표는 “민주화된 이후에도 박정희 대통령 식의 경제정책을 했는데 그런 방식이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면서 대안으로 ‘포용적 경제’(inclusive economy)를 강조했다.
김 대표는 지난 3년 동안의 박근혜 정부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에 “낙제라고 할 수는 없지만 잘한 정책을 딱 집어서 얘기할 수 없는 것 같다”면서 “잘못한 것은 한 가지 지적하면 대선 때 국민에게 약속한 것은 좀 제대로 지켰어야 되지 않느냐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