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 오세훈·정세균 접전, 누가 ‘정치 1번지’ 승자될까

종로 오세훈·정세균 접전, 누가 ‘정치 1번지’ 승자될까

입력 2016-04-10 16:18
수정 2016-04-10 16: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세훈, 박진·정인봉·조윤선 합세해 ‘반성·화합 유세’정세균, 총 274km 골목골목 누비며 ‘저인망식 표밭갈이’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서울 종로의 새누리당 오세훈·더불어민주당 정세균 후보는 4·13 총선을 사흘 앞둔 10일 정치적 상징성이 큰 이곳에서 최후승자가 되기 위해 ‘막판 72시간 총력전’에 들어갔다.

현재 두 후보가 승부를 예측할 수 없는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오 후보는 이날 박진 전 의원 등 당내 경선 경쟁자들이 총출동해 오 후보를 돕는 ‘화합의 유세’를 벌였고, 정 후보는 종로지역의 도로와 골목을 구석구석 누비는 ‘저인망식 표밭갈이’에 나서며 한 표를 호소했다.

◇오세훈 ‘반성·화합’ 모드 = 오 후보는 선거일까지 자신의 선거구인 종로 유세에 ‘올인’할 계획이다.

그간 서울 권역 선거대책위원장으로서 다른 후보의 선거를 돕기도 했지만 남은 사흘만큼은 본인이 싸워야 할 종로에 집중해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것이다.

특히 눈길을 끄는 부분은 이날부터 박진 전 의원과 정인봉 전 당협위원장 등 당내 공천 경쟁자들이 모두 오 후보 지원 유세에 합류했다는 점이다. 당은 이번 총선 공천과정에 노출된 당내 계파싸움이 수도권 유권자들로 하여금 등을 돌리게 하였다고 자체 판단하고, 화합의 모습을 유권자들에게 부각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오 후보 캠프는 싸늘해진 유권자와 지지층의 마음을 다시 잡기 위해 ‘반성’ 메시지를 강화하며, 현수막도 “새누리당에 다시 기회를 달라”는 취지의 호소 문구로 선거 메시지를 바꾸고 있다.

또 이날 오 후보의 유세에는 서울 서초갑 공천에서 고배를 마신 조윤선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합류해 힘을 보탰다.

오 후보의 종로 올인 모드 전략에는 선거일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지난 7일까지 조사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정 후보와 오차범위 안에서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실제 선거에서 박빙의 승부가 예상된다는 위기의식도 작용했다는 게 오 후보 측 설명이다.

오 후보 측은 후보 본인은 물론 부인과 두 딸, 장녀의 사위까지 온 가족이 선거운동 현장에 뛰어들어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정세균 ‘골목길 저인망’ 유세 = 6선 고지를 노리는 더민주 정 후보는 최대한 바닥 민심을 구석구석 파고든다는 차원에서 골목 유세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남은 사흘간 지역구 내 총연장 274㎞에 달하는 도로 전체를 한 바퀴 다 돌며 득표전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날도 정 후보는 오전 6시 30분 산악회 인사를 시작으로 유세 차량을 타고 좁은 골목을 누리며 한 표를 호소했다.

새누리당 오 후보가 서울시장 출신인 데다 여권의 잠룡으로 분류되지만 ‘유명세만 갖고는 까다로운 종로 민심을 공략할 수 없다’며 지난 4년간 다져온 지역 민심을 토대로 바닥표를 공략하고 있다.

정 후보 측은 이를 ‘강남 스타일 대 종로 스타일의 대결’이라고 불렀다.

당내 원로인 김원기·임채정 전 국회의장과 이곳에서 11∼14대 국회의원을 지낸 이종찬 전 국정원장, 후원회장 소설가 박범신 씨, 친분을 이어온 ‘일용 엄니’ 탤런트 김수미 씨도 든든한 우군이 돼 선거운동을 돕고 있다.

당 차원에서도 총력전을 펴고 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는 지난달 12일 선거사무소 개소식에 참석한 데 이어 선거운동 시작일인 지난달 31일 이곳에서의 출근인사로 공식 선거운동을 시작했고, 오는 12일도 이곳에서 선거운동 피날레를 장식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김홍걸 당 국민통합위원장도 오는 11일 이곳을 찾아 전통적 지지층 결집에 나설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