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는 31일 북한이 이날 오전 5시 20분쯤 강원도 원산지역에서 기종이 확인되지 않은 미사일 1발을 발사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군은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군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달 세차례 발사한 무수단 미사일을 다시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조금더 분석이 필요하긴 하지만 지난달 발사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다시 발사했지만 또다시 실패한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지난달 15일과 조선노동당 7차대회(6~9일)를 앞둔 지난달 28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세 차례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공중에서 폭발하거나 발사직후 추락했다. 이날 오전 발사 실패로 북한이 지난 2007년 성능을 검증하지 않고 실전에 배치한 무수단 미사일은 네 차례 발사에 실패한 셈이다.
무수단 미사일은 사거리 3000㎞안팎으로 추정되며, 핵탄두를 탑재해 일본 오키나와와 괌에 있는 미군 기지를 공격하기 위한 용도로 분석된다.
북한이 지난번 발사 실패를 만회하는 차원에서 다시 발사했지만 결국 다시 실패함에 따라 관련자들의 문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군 관계자는 “군은 북한군의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군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달 세차례 발사한 무수단 미사일을 다시 발사한 것으로 보인다”며 “조금더 분석이 필요하긴 하지만 지난달 발사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다시 발사했지만 또다시 실패한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은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지난달 15일과 조선노동당 7차대회(6~9일)를 앞둔 지난달 28일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 세 차례 무수단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공중에서 폭발하거나 발사직후 추락했다. 이날 오전 발사 실패로 북한이 지난 2007년 성능을 검증하지 않고 실전에 배치한 무수단 미사일은 네 차례 발사에 실패한 셈이다.
무수단 미사일은 사거리 3000㎞안팎으로 추정되며, 핵탄두를 탑재해 일본 오키나와와 괌에 있는 미군 기지를 공격하기 위한 용도로 분석된다.
북한이 지난번 발사 실패를 만회하는 차원에서 다시 발사했지만 결국 다시 실패함에 따라 관련자들의 문책이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