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비대위 구성 묘수 찾나…“기존 위원 배제대상 아냐”

與 비대위 구성 묘수 찾나…“기존 위원 배제대상 아냐”

입력 2016-05-31 13:25
수정 2016-05-31 13: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위원장+당내·외 5명씩 참여…원내대표 등 당 3역 당연직 포함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임명 및 비대위원 인선안 추인을 위한 전국위원회·상임전국위원회가 31일로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당 안팎의 관심이 김희옥 혁신비대위원장 내정자가 발표할 비대위원 면면에 쏠린 가운데 기존에 정진석 원내대표가 내정했던 비대위원 중 친박(친박근혜)계가 극력 반대했던 일부 인사들이 포함될지 여부와 그럴 경우 최종 추인여부가 주목된다.

김 내정자는 오는 2일까지 비대위원 인선안을 마련해 당일 열리는 상임전국위와 전국위에서 추인을 받을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김 내정자는 31일 오전 민경욱 원내대변인을 통해 비대위원 인선 기준 일부를 발표했다.

비대위원은 위원장을 포함해 총 11명으로 구성되고, 위원장을 제외한 나머지 10명 위원은 당내인사와 당외인사 5명씩 임명하기로 했다.

또 당내인사에는 정 원내대표·김광림 정책위의장·홍문표 사무총장 직무대행 등 당 3역을 당연직 위원으로 포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연직 위원을 제외하고 새 비대위에 합류할 당내 인사 몫은 2명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 비대위원에 누가 뽑힐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김 내정자가 최대 15명까지 구성할 수 있는 비대위원수를 11명으로 정하고, 당내 인사를 5인으로 제한한 것은 당내인사의 참여를 줄여 ‘계파 논란’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취지로 풀이된다.

당내인사 몫 비대위원 검토 대상에는 당협위원장 등 원외인사도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 17일 출범이 무산됐던 ‘정진석 비대위’에서 비대위원으로 내정됐던 인사들의 포함 여부가 주목된다.

김 내정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 원내대표가 선임했던 비대위원 내정자들의 포함 문제에 대해 “그 문제에 대해서는 제가 아직 결정한 것이 없다”며 즉답을 피했다.

숫자상으로 볼 때 당연직 위원을 제외한 기존 비대위원 내정자중 대부분이 비대위에서 배제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기존 멤버중 새 위원에 포함될 사람이 있느냐는 점이다.

친박계는 기존 비대위원 내정자중 김세연 이혜훈 김영우 의원의 비대위 인선에 강력히 반발해왔다. 이들이 새 비대위에 합류하느냐 배제되느냐가 ‘태풍의 눈’이 될 거라는 전망이다.

당내에선 기존 비대위원중 일부가 포함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는 기류가 감지된다.

원내지도부 핵심 관계자는 통화에서 기존 비대위원의 포함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반드시 포함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적어도 배제대상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내정자의 비대위원 인선작업을 지원하는 또 다른 핵심 관계자도 통화에서 “그래도 원내대표가 인선했던 비대위원을 모두 제외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면서 “기존 10명 중 몇 분은 포함돼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세연 이혜훈 의원은 총선 공천과정에 탈당한 무소속 유승민 의원과 가깝고 김영우 의원은 김무성 대표 체제에서 당 수석대변인을 맡았었다.

오는 2일 전국위·상임전국위를 거쳐 김 내정자와 비대위원들이 정식 임명되면 혁신비대위가 순탄하게 출범, 당 대표 권한을 대행할 김희옥 비대위원장과 정 원내대표의 ‘투톱 체제’가 안정화되면서 당의 정상화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에 비대위원 인선문제로 내달 2일에도 비대위가 출범하지 못할 경우 새누리당은 총선 참패의 후유증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극도의 혼돈속으로 빠져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