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운영·정무위 챙기려는 의도”
2野, 3당 원내부대표 단톡방 공개“先사과 요청한 與, 도 지나쳐” 비난
20대 국회 국회의장단을 선출해야 하는 법정 기한(7일)이 나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야 3당의 원 구성 협상은 진통을 거듭하고 있다.
국회의장 및 핵심 상임위원회 배분을 둘러싼 협상이 ‘폭로전 양상’까지 띠면서 사실상 법정 기한을 지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원내대표는 2일 국회 고위정책회의에서 “국회의장직을 더민주가 맡으면 새누리당에 법제사법위원장직을 양보하겠다”고 밝혔다. 더민주는 그동안 ‘국회의장은 제1당인 더민주가 맡아야 하고, 법사위원장도 야당 몫’이라는 입장이었다. 우 원내대표는 “이제는 여당이 화답할 차례”라며 새누리당에 공을 넘겼다. 또 새누리당에 교황 선출 방식인 ‘콘클라베’(외부와 격리된 채 교황을 선출할 때까지 계속하는 비밀회의)도 제안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은 “허무맹랑한 꼼수”라고 즉각 반발했다. 새누리당 김도읍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기자 간담회를 자청해 “더민주는 이미 지난 5월 30일 법사위원장을 양보하는 대신 운영위원장과 정무위원장을 요구했다”며 그동안 여야 3당 수석부대표 사이에 진행된 협상 과정을 공개했다.
그러자 더민주, 국민의당 등 두 야당은 여야 3당의 원내수석부대표 간 ‘단체 카톡방’에서 나눈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더민주 박완주,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같은 시간에 별도로 기자 간담회를 열고 “김 수석부대표가 ‘(야당이) 진정 어린 선(先)사과를 하면 협상장에 나가겠다’고 하더라”고 전하며 “도가 지나치다”고 비난했다.
여야 3당 간의 협상이 이처럼 ‘진흙탕 싸움’으로 번지면서 이번 20대 국회의 원 구성 협상은 역대 가장 늦게 타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6-06-03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