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구의역 사고 ‘문재인-박원순 책임론’ 집중포화

與, 구의역 사고 ‘문재인-박원순 책임론’ 집중포화

입력 2016-06-13 11:31
수정 2016-06-13 11: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진석 “서울메트로 ‘낙하산 인사’ 점검할 것”“文, 박원순 책임을 새누리 잘못으로 호도하는 논리 비약”

새누리당은 13일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망 사고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과 함께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의 책임론도 제기하며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안전 관리의 최고 안전책임자인 박 시장이 기득권 지하철노조의 눈치를 보느라 결과적으로 하청 업체의 열악한 근무 환경을 방치했다는 게 새누리당의 주장이다.

특히 이날은 서울메트로 감사로 임명된 문 전 대표 측 인사 실명을 거론하며 전문성을 무시한 ‘낙하산 인사’가 이번 사고를 초래한 총체적 부실을 불러왔다는 새로운 의혹을 제기했다.

앞서 문 전 대표가 11일 구의역 사고를 세월호 참사와 묶어 현 정부의 책임인양 지적한 데 대한 반격으로 풀이된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혁신비상대책위 회의에서 “구의역 사고 직후 서울메트로 감사직에서 사퇴한 지용호씨는 문 전 대표의 최측근”이라면서 “문 전 대표야말로 서울메트로에서 벌어진 낙하산 인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말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하철 운영과 관련 없는 문 전 대표의 최측근이 어떤 경위로 감사에 임용됐는지 확인하겠다”면서 “아울러 서울메트로 상층부에 박 시장 측근과 더민주 관계자가 포진했다는 언론의 문제 제기도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당내 일각에서는 지 씨가 문 전 대표의 대학 후배로서 개인적으로도 가까웠다는 주장도 내놓고 있다.

김현아 대변인은 구두 논평에서 “박 시장의 책임이 있다는 세상이 다 아는 사실에 대해 문 전 대표는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잘못으로 호도하는 정치적 공세를 펴고 있다”면서 “이런 분이 더민주의 대선 후보 역할을 한다는 현실에 개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하태경 의원은 전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문 전 대표가 구의역 사고에 대해 새누리당 정권이 만든 사고라고 했다”면서 “박 시장을 새누리당 소속이라고 착각하고 계신 것인지, 모든 것을 새누리당 탓으로 끼워 맞추는 논리 비약이 놀랍다”고 꼬집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