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네팔서 SNS…“부끄러운줄 모르고 전작권 美에 맡기자 주장”

文, 네팔서 SNS…“부끄러운줄 모르고 전작권 美에 맡기자 주장”

입력 2016-06-24 17:17
수정 2016-06-24 1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의존하는 약한 군대, 방산비리…朴정부 안보 현주소”

히말라야 트레킹을 위해 네팔로 떠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24일 페이스북에서 “(우리 군은) 작전권을 미군에 맡겨놓고 미군에 의존해야만 하는 약한 군대”라며 박근혜 정부의 국방 정책을 비판했다.

문 전 대표가 SNS에 글을 남긴 것은 지난 13일 출국 인사를 남기고 나서 11일만이다.

이번 글은 6·25 발발 제66주년을 하루 앞두고 참전용사의 평전을 읽고 감상을 남기는 형식을 취했지만, 현 정부의 안보정책을 참여정부와 비교하며 이례적으로 강도높은 질타를 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끌었다.

특히 문 전 대표가 출국한 사이 국내에서는 안희정 충남지사나 김부겸 의원 등 잠재적 대권주자들의 행보가 주목을 받은 시점이어서, 정치권에서는 이번 문 전 대표의 SNS 재개를 의미심장하게 바라보고 있다.

문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대한민국의 자주국방을 생각합니다’라는 글에서 “트레킹을 하며 ‘아름다운 영웅 김영옥’이란 책을 읽었다. 지진 피해가 극심해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상황에서 랜턴 불빛에 의존해 읽었는데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며 책 내용을 소개했다.

그는 “한국계 미국인 김영옥 대령이 부신 전공을 세웠지만, 한국 정부에서는 무공훈장을 받지 못했다. 노무현 정부 때 알아보니 훈포상이 전후에 모두 종결됐기 때문이었다”며 “노무현 정부는 군을 설득해 2005년 10월 태극무공훈장을 수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문 전 대표는 “일부 고위 지휘관들은 전투마다 연전연패하고도 당시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군단이 궤멸됐음에도 전선을 무단이탈한 지휘관도 있었다. 이로 인해 우리군 작전권이 미군에게 넘어가는 빌미를 제공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런 지휘관 중 일부는 전쟁 후 참모총장, 국방장관 등으로 승승장구하며 군을 이끌었다. 자신들의 무능으로 작전권이 미군에게 넘어갔는데도, 부끄러운 줄 모르고 작전권을 미군에게 맡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노무현 정부가 작전권 환수를 합의하자 반대성명을 낸 이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이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6년 민주평통 상임위에서 “전작권 회수하면 안된다고 성명내는 것은 직무유기 아니냐.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고 말한 것과도 유사한 비판이다.

문 전 대표는 “미군에 의존해야만 하는 약한 군대, 방산 비리의 천국… 이것이 지금도 자주국방을 소리 높여 외치는 박근혜 정부의 안보 현주소”라며 “60여년간 외쳐온 자주국방의 구호가 부끄럽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는 김 대령의 일화가 지난해부터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빠졌다며, 교육부에 그 이유를 설명해 줄 것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에서 관심을 갖고 살펴주기를 당부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문 전 대표가 당 대표로 재직하던 시절 ‘유능한 경제정당·든든한 안보정당’을 내세웠던 만큼, 이번 글을 통해 안보를 최우선으로 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부각시킨 것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아울러 안 지사 등 ‘대권 후발주자’들의 움직임이 눈에 띄게 활발해진 상황에서, 본격적인 야권 대선후보 경쟁을 의식한 행보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당 안팎에서는 문 전 대표가 내달 귀국하고 8월 더민주 전당대회가 끝나고 나면, 이후부터는 야권의 대권레이스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