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내일 전당대회 선관위 발족…‘룰의 전쟁’ 점화

與, 내일 전당대회 선관위 발족…‘룰의 전쟁’ 점화

입력 2016-07-05 12:29
수정 2016-07-05 12: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관용 위원장 ‘유력’…원내외 인사 11명, 위원 물망

새누리당은 6일 ‘8·9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를 발족하고 본격적인 전대 준비에 착수한다.

한 고위 당직자는 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내일 혁신비상대책위원회 전체회의 의결을 거쳐 선관위원장과 위원을 임명할 예정”이라면서 “전당대회를 통해 환골탈태에 버금가는 과감한 혁신 의지를 보여야 하기 때문에 선관위의 역할도 막중해졌다”고 말했다.

현재 혁신비대위는 위원장으로 박관용 전 국회의장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며, 선관위원은 원·내외 인사 11명으로 구성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선관위는 합동연설회 형식과 횟수, 선거운동 기간, 투·개표 절차 등 전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이 때문에 역대 전대에서 계파별, 주자별 득실이 첨예하게 엇갈리는 사안에 대한 선관위의 결정을 놓고 치열한 힘겨루기가 벌어졌다.

실제로 2년 전 7·14 전대에서는 주로 체육관에서 열렸던 후보연설회를 전면 폐지하고 TV 토론회로 대체하는 방안과 현장 합동연설회를 몇 번 개최하느냐 등을 놓고 당시 김무성·서청원 후보간 입장이 엇갈렸다.

또 한꺼번에 투표하고 나서 일괄 개표하는 ‘원샷’ 방식과 흥행몰이를 위해 권역별로 순차적으로 투표한 후 즉각 개표 결과를 공개해 마지막 투표장에서 최종 승자를 정하자는 의견이 대립한 적도 있다.

이번에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키로 하고, 여기에 추가로 ‘컷오프제’와 ‘모바일 투표’ 등을 처음 도입하자는 주장도 제기되는 만큼 역대 어느 때보다 팽팽한 기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전대 규칙을 놓고 유력 주자간 입장차가 나타나고 있다.

당 대표 출마를 선언한 친박(친박근혜)계 이주영 의원은 YTN 라디오에 출연, “모바일 투표가 투표율을 높인다는 측면에서는 바람직하다”면서도 “다만 대리투표, 집단투표 등 여러 문제점을 일으켰던 만큼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이 동시에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비박(비박근혜)계 주자들이 모바일 투표의 도입에 적극적인 것과는 온도차를 감지케 하는 대목이다.

한편, 전대를 앞두고 유력 당권주자와 계파 수장들의 움직임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김무성 전 대표가 오는 14일 대표 취임 2주년을 맞아 당시 전대 캠프에 몸담았던 실무자와 지지자 등 수백명이 참석하는 만찬 회동을 추진하자 전대와 대선을 겨냥한 행보 아니냐는 정치적 해석을 낳았다.

원래 500명을 참석 대상으로 행사를 계획했으나 참석 희망자가 늘면서 규모가 더욱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한 친박계 의원은 “김 전 대표나 비박계도 총선 패배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데 전대를 앞둔 민감한 시기에 대규모 회동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김 전 대표 측은 “취임 1주년 때나 연말에도 송년 행사를 열었고, 이번에도 지지자들이 얼굴이나 한 번 보자고 해서 모임을 하게 됐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이와 함께 여전히 출마 여부에 대한 공개 입장을 나타내지 않고 있는 최경환 의원이나 친박계 추대설이 나오는 서청원 의원의 행보도 주목을 받고 있다.

일각에서는 최 의원이 6일 의원총회에서 컷오프와 같은 전대 룰이 확정되면 출마를 결심할 것이라는 설도 있다.

전대 출마를 검토 중인 친박계 홍문종 의원은 SBS라디오에서 “최 의원이 당의 리더 중 한 사람이었기 때문에 출마를 고민하고 있으면 가능성은 반반으로 본다”면서 “서 의원의 출마에 대해서도 일부 의원들 사이에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 것은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