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독도 알리자”…반크, 홍보영상 34개 무료공개

“365일 독도 알리자”…반크, 홍보영상 34개 무료공개

입력 2016-10-25 10:02
수정 2016-10-25 10: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도의 날’ 맞아 홍보대사 양성 등 프로젝트 추진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25일 ‘독도의 날’을 맞아 “365일 독도를 알리자”는 차원에서 지금까지 제작해 발표한 독도 홍보 동영상 34개를 무료 공개한다고 밝혔다.

반크가 공개하는 영상은 ‘독도를 한국과 일본 간 영토분쟁이 아닌 일본 제국주의 침략 과거사로 홍보하는 영상’, ‘일본의 논리에 대응해 국제법·역사적으로 독도의 정당성을 세계에 알리는 영상’, ‘독도를 세계에 알리는 한국 청년들의 활동을 알리는 영상’ 등 크게 3개 주제로 구분된다.

일본 제국주의 침략 과거사 영상에는 ‘일본 정부에 대응하는 독도 홍보’(한글:https://youtu.be/b763Qy8JlCQ 영어:https://youtu.be/rEyHMWulBeU), ‘전 세계 외국인에게 독도 홍보하는 방법’(https://youtu.be/llL1lj0VtII), ‘독도-명성황후’(명성황후 시해 사건으로 독도 홍보. 한글:http://youtu.be/sEllVaOrJqQ 영어: http://youtu.be/efJVjnesV5k), ‘독도-헤이그 특사’(한글:http://youtu.be/D-mrxubtXkk 영어:http://youtu.be/2o69b-IorRM) 등이 있다.

또 ‘독도 옐로카드’(한글:http://bit.ly/QkdSS8 영어:http://youtu.be/XOaYMZLYwdI), ‘독도 팩트’(한글:http://youtu.be/LbjZVbkFmg0 영어:http://youtu.be/llcA54P1eKk), ‘독도와 정한론’(한글:http://youtu.be/6VrmOe9la-o 영어:http://youtu.be/9_qSkT-9b04), ‘Do you know? 독도’(한글: http://youtu.be/uihJzHb3-fA 영어:http://youtu.be/U4cWWp2LoDk) 등은 일본 논리에 대응하는 영상이다.

‘반크가 제안하는 10가지 독도 홍보전략’(한글:http://youtu.be/foyqf957luA 영어:http://youtu.be/0_RPpTxVM1A), ‘독도 실천 을지문덕’(한글:http://youtu.be/RgTV5_HPvZw 영어:http://youtu.be/QKu9pNPWQcA), ‘21세기 장보고 -협력의 눈으로 보는 아시아’(한글:http://youtu.be/y2jH98vDpBw 영어:http://youtu.be/JZI3AaLe2HE)는 반크 청년들의 활동상을 담고 있다.

반크는 이 영상들을 13만 명의 반크 회원과 재외동포들에게 퍼트리는 캠페인을 전개하기로 했다. 또 독도의 봄·여름·가을·겨울을 담은 사계절 사진을 소개하고 이를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전파할 방침이다.

반크는 경상북도와 함께 일본의 독도 왜곡과 역사 왜곡을 저지할 청소년·청년 ‘글로벌 독도 홍보대사’ 200명도 모집한다. 이달 말까지 반크 웹사이트에서 신청자를 받고 서류를 통과한 예비 대사들을 오는 11월 15일 서울시청 서소문 별관에 모아 교육을 한 뒤 발대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박기태 반크 단장은 “한국의 청소년과 청년들이 365일 독도를 세계에 알릴 수 있는 프로젝트를 통해 일본 정부의 독도 왜곡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독도의 날은 고종황제가 1900년 10월 25일 대한제국 칙령 제41호를 통해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명시한 것을 기념하고, 독도 수호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 제정했다.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의원은 지난 4일 제333회 정례회 홍보기획관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가 운영하는 온라인 홍보 채널의 최근 성과를 집중적으로 점검하며 “짧은 기간 안에 상당히 큰 성과를 달성했다”며 “서울시 공공소통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의원은 먼저 서울시 유튜브 채널 성과를 언급하며 “조회수가 86% 증가해 연간 840만명이 시정 콘텐츠를 시청했고, 구독자 수는 26만명에 달한다”고 질의했다. 이어 “주 20회 이상 자체 콘텐츠를 제작·발행해 양적 확대가 뚜렷하다”며 “단순한 예산투입형이 아니라 자체 제작 콘텐츠의 질을 기반으로 달성한 성장”이라고 높게 평가했다. 김 의원은 “이 정도 수준의 성과라면 단지 시정 홍보를 넘어 공공 소통 모델로서 타 지자체 또는 정부부처와 공유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강조하며, 다른 지자체와의 협업 계획 여부를 질의했다. 이에 홍보기획관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협력 가능하다”고 답했다. 인스타그램 성과에 대해서도 김 의원은 상세히 점검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50만명(※ 실제 현행 약 54.2만명)으로, 2위 부산시의 약 19.7만명과 큰 격차를 보인다”며 “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온라인 홍보 3대 지표 성과 격려… “새로운 공공소통 모델 될 것”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