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사무처 당직자들이 18일 이정현 대표를 만났습니다. 전날 130여명이 모여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에 따른 당 위기 상황에 대해 논의했고, 그 결과를 전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당직자 출신이기도 한 이 대표에게 후배들은 “죄송하지만 용단을 내려 달라”며 사퇴를 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사무처 당직자들의 비상총회는 2003년 이른바 ‘차떼기’ 정국 이후 13년 만에 처음 열린 것입니다.
이미지 확대
허백윤 정치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허백윤 정치부 기자
●13년 만에 비상총회… “어딜 가나 죄인” 봇물
특히 젊은 당직자들은 당 밖의 어느 누구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던 현실적인 고민들을 쏟아냈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습니다. “우리 당은 이제 끝난 것 같다”, “내년 대선은 무조건 필패(必敗)할 수밖에 없다”, “어딜 가나 죄인이 된 것 같다”. 한 당직자는 “결혼하고 아이가 태어난 지도 얼마 안 됐는데 며칠 전 아내에게 회사가 없어질 것 같다고 말했다”고 밝혔답니다. 한동안 쌓아두고만 있던 위기감과 불안감, 자괴감이 봇물처럼 터져 나온 것입니다.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선 이 대표 등 지도부의 사퇴가 시급하다는 의견이 모였습니다. 비주류의 비상시국위원회도 바로 해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당무를 거부해야 한다는 제안이 공감대를 얻기도 했습니다.
●“부모가 잘못해도 부모”… 무거웠던 4시간
그러나 분노와 한탄은 오히려 무겁게 표현됐습니다. 강경해지는 분위기에 “너무 세게 밀어붙이지는 말자”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한 국장급 당직자는 “부모가 큰 잘못을 저질렀어도 나의 부모인 것을 바꿀 수는 없다. 오히려 자식들이 먼저 상대방(피해자)에게 잘못했다고 하고 용서를 구하는 게 도리”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지도부의 ‘즉각 사퇴’를 요구하던 성명서는 ‘결단을 호소’하는 것으로 고쳐졌고, 이런 고민이 4시간 넘게 이어졌습니다.
끝나고 나니 자신들이 총회에서 사퇴를 요구할 수 있을지 몰랐다고 합니다. 기업으로 치면 사원들이 사장에게 나가 달라고 하는 것과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성명서에 담긴 단어 한 자도 결코 가볍게 적지 못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 대표는 이날 사무처 협의회의 사퇴 요구를 단번에 거부했습니다. “오죽하면 이렇게까지 하겠느냐”는 후배들을 오히려 나무랐다고 합니다. 당원들끼리 어렵게 털어놓고 서로를 다독이려 했던 의도는 빗나가고 말았습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