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과학계 인사들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았던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임명 나흘 만인 11일 자진 사퇴했다. 박 본부장은 전날까지만 해도 자진 사퇴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자진사퇴한 박기영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11일 오후 과천 정부과천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나서고 있다. 과학기술계와 정치권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온 박기영 본부장은 퇴근 이후 자진 사퇴했다. 2017.8.11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자진사퇴한 박기영
박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11일 오후 과천 정부과천청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나서고 있다. 과학기술계와 정치권으로부터 사퇴 압력을 받아온 박기영 본부장은 퇴근 이후 자진 사퇴했다. 2017.8.11 연합뉴스
박 본부장은 지난 7일 임명됐다. 하지만 세계 과학 역사상 최악의 연구 부정행위 사건 중 하나인 ‘황우석 논문조작 사태’에 깊이 연루된 인물이라는 점 때문에 사퇴 압력을 받아 왔다.
그동안 국내 과학계에서는 박 본부장이 2005년 ‘황우석 논문조작 사태’가 발생했을 당시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으로 가장 큰 책임을 져야 할 위치에 있었던 인물이라면서 그의 자진 사퇴를 촉구해왔다.
박 본부장은 참여정부 청와대 과학기술보좌관 재직 당시 실제 연구 기여 없이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2004년 낸 사이언스 논문에 공저자로 이름을 올렸고, 황 전 교수로부터 전공과 무관한 연구과제 2개를 위탁받으면서 정부지원금 2억 5000만원을 받은 점이 문제가 됐다.
순천대 교수 출신인 그는 노무현 정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을 지낸 데 이어 2004년 1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을 맡으면서 황 전 교수의 연구를 전폭적으로 지원하는 데 중심 역할을 했다.
박 본부장은 전날 과학기술계 원로들과 연구기관장들을 초청해 연 간담회에서 11년 반 만에 황우석 사태 연루에 대한 사과의 뜻을 밝히면서도 “구국의 심정으로 이 자리에 섰다. 일할 기회를 주신다면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으며 일로써 보답하고 싶다”며 사퇴 거부 입장을 드러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까지 나서 “박 본부장 인사 문제로 걱정을 끼쳐드려 국민께 송구스럽다. 박 본부장의 과(過)와 함께 공(功)도 함께 평가해야 한다”며 측면 지원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사퇴 압박이 잦아들지 않자 결국 박 본부장 스스로 물러나는 길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