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유승민·최경환…‘친박 핵심’ 3人의 엇갈린 운명

김무성·유승민·최경환…‘친박 핵심’ 3人의 엇갈린 운명

입력 2017-10-22 10:20
수정 2017-10-22 1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른정당 공동창업’ 金·劉 1년도 안 돼 결별 수순崔, 한국당 ‘탈당 권유’에 정치생명 최대 위기…항전 태세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친박 핵심 인사들에 대한 출당 조치에 들어간 가운데 한때 친박(친박근혜)계 핵심이었던 김무성·유승민·최경환 의원의 엇갈린 운명이 시선을 끌고 있다.

‘박근혜 탄핵 정국’에서 새누리당(현 한국당)을 떠나 바른정당을 창업하며 한배를 탄 김, 유 의원은 1년도 안 돼 결별 수순을 밟고 있고, 최 의원은 당에서 쫓겨날 위기 속에서 결사항전의 의지를 다지고 있다.

예상치 못했던 바른정당과 국민의당 간의 통합논의가 급부상하면서 그동안 물밑에서 추진돼 온 보수통합 시나리오가 주춤한 가운데 정치권은 김, 유 의원의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두 사람의 인연은 2002년 대선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대선 후보의 최측근으로 운명을 같이했다.

고(故) 김영삼 전 대통령의 상도동계 출신인 김 의원은 이 후보의 비서실장이었고, 당시 44세의 소장파 경제학자였던 유 의원은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 소장으로 일했다.

대선 패배를 맛본 이들은 2005년 ‘박근혜 대통령 만들기’를 위해 다시 뭉쳤다.

김 의원은 당 사무총장으로, 유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으로 활약했다.

이후 박 전 대통령이 당 대표를 사퇴한 2006년부터는 두 사람 다 당직을 버리고 대선캠프에서 한솥밥을 먹기 시작했다. 정치권에서는 이를 ‘원조 친박’의 기원으로 여긴다.

그러나 박 전 대통령이 2007년 8월 대선 경선에서 패배하면서 둘은 각자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김 의원은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중 당시 친이(친이명박)계의 지지를 받아 원내대표가 되면서 ‘파문’당했다가 2012년 대선 때 박근혜 캠프 총괄본부장을 맡아 관계를 다시 복원했다. 그러나 당 대표이던 지난해 4·13 총선 때 친박계가 일으킨 공천 파동을 겪으면서 관계가 다시 틀어지기 시작한 데 이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계기로 박 전 대통령과 완전히 결별했다.

반면, 유 의원은 이미 2007년 경선 패배 후부터 박 전 대통령 곁을 지키지 않으며 줄곧 ‘탈박’의 길을 달렸다. 유 의원은 박 전 대통령이 2012년 대선에 앞서 당명을 바꾸고 당의 색깔을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바꿀 때도 대놓고 반대 목소리를 냈을 정도로 공개적으로 박 전 대통령과 각을 세워왔다.

시기를 달리해 친박에서 떨어져 나온 김 의원과 유 의원은 사실상 바른정당을 공동창업하면서 의기투합했다.

하지만 1년도 안 돼 다시 각자의 길을 가려 하고 있다. 김 의원은 한국당과의 통합을 추진하는 통합파의 중심이고, 유 의원은 독자생존을 모색하는 자강파의 핵심이다. 유 의원은 아예 국민의당과의 통합 가능성도 열어놓고 있다.

국정 감사차 외국에 머물고 있는 김 의원은 오는 28일 귀국 이후 보수통합 논의에 본격적인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맞서 유 의원은 국민의당과 통합논의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김 의원이 주도하는 보수통합 움직임에 제동을 것으로 관측된다.

통합파, 자강파를 각각 대표하는 두 의원이 각자도생을 모색하며 야권 재편 논의의 최대 변수로 떠오른 반면 최 의원은 정치생명이 최대 위기에 놓여 대조된다.

4선의 최 의원은 박근혜 정부에서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지낸 친박계 핵심 중 핵심으로 꼽힌다.

국회 재적의원 300명 중 299명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당시 최 의원은 “표결하면 가부를 떠나 혼란을 준다”며 유일하게 불참하기도 했다.

최 의원은 지난 20일 당 윤리위원회의 ‘탈당 권유’에 따라 당에서 강제로 쫓겨날 위기에 몰렸다.

탈당 권유를 받은 뒤 열흘 이내에 탈당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열흘 뒤 최고위 의결을 거쳐 자동 제명된다.

그러나 현역의원 제명은 의원총회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한 데다 친박 의원들은 박 전 대통령과 두 의원에 대한 징계 결정에 반발하고 있어 제명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최 의원은 현재 당 윤리위원회 결정에 “승복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최 의원은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코미디 같은 윤리위 결정은 원천무효이며 취소돼야 마땅하다”며 “정당의 민주적 절차와 규정을 완전히 무시한 독재적 행태이며 정치적 보복 행위”라고 비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