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시 지지율 19.2%…민주당 이어 2위”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시 지지율 19.2%…민주당 이어 2위”

강경민 기자
입력 2017-11-23 13:18
수정 2017-11-23 15: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민정책연구원 여론조사…“野대표인물, 유승민>홍준표>안철수”

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 하나로 합칠 경우 지지율이 더불어민주당에 이어 2위로 올라설 것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국민의당 싱크탱크인 국민정책연구원(원장 이태규 의원)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유권자 1천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95% 신뢰수준, 표본오차 ±3.0%포인트) 현재 정당별 지지율에서 국민의당은 5.5%로 집계됐다.

이는 더불어민주당(49.0%), 자유한국당(11.8%), 바른정당(6.3%)에 이은 4위다. 정의당은 5.4%였다.

그러나 국민의당-바른정당의 통합을 전제로 한 문항에서는 통합정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자가 19.2%로 나타났다. 이는 민주당(47.5%)에 이은 2위다.

자유한국당 지지율은 11.7%로, 3위에 머물렀다.

국민정책연구원은 “통합정당을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현재 두 당의 지지율을 단순 합산한 11.8%보다 7.4%포인트 높다”고 말했다.

국민의당의 진로와 관련해선 다른 정당과 연대·통합해야 한다는 응답이 45.6%로 나와 ‘독자세력 성장’ 40.0%보다 다소 높았다.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공감한다는 의견은 36.6%,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은 58.0%였다. 민주당과의 통합에 대해서는 공감 37.2%, 비공감 57.9%였다.

하지만 응답자를 국민의당 지지자로 좁혀서 보면, 이 중 58.0%가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비공감 응답은 38.6%였다.

국민의당 지지자 중 민주당과의 통합에는 공감하는 비중이 33.8%에 그쳐, 비공감 의견 64.3%보다 크게 낮았다.

지역별로 봤을 때는 호남에서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공감하는 비율이 37.0%, 비공감이 55.0%였다. 호남 유권자는 민주당과의 통합에 대해서도 공감 39.5%, 비공감 53.5%로 부정적 의견이 더 많았다.

국민의당이 추구해야 할 노선으로는 ‘진보나 보수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은 중도’라는 답변이 36.1%로 가장 많았다. ‘진보에 가까운 중도’는 21.7%, ‘진보’ 15.2%, ‘보수에 가까운 중도’ 9.1%, ‘보수’ 6.2%였다.

야권을 대표하는 인물로는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26.2%를 얻어 1위에 올랐다. 한국당 홍준표 대표는 18.2%,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14.5%로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호남에서 유 대표가 24.5%로 1위였고 안 대표가 21.0%로 2위였다.

또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정당을 지지하겠다고 답한 이들 가운데서도 야권의 대표인물로 유 대표를 꼽은 이가 32.0%로 가장 많았고 안 대표는 26.2%로 그다음이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해서는 ‘매우 잘하고 있다’는 평가는 33.2%, ‘대체로 잘하는 편’은 46.0%로 긍정 평가가 79.2%에 달했다. ‘대체로 잘 못하는 편’은 12.0%, ‘매우 잘못’은 6.4%, 무응답은 2.4%였다.

이밖에 응답자들의 59.6%는 바람직한 정당구조로 다당제를 꼽았다. 양당제를 선택한 비율은 34.2%였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에 찬성하는 응답은 55.1%, 반대는 29.6%로 나타났다. 지방선거 기초공천제는 폐지에 관해서는 찬성이 67.5%, 반대는 18.3%였다.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 정부의 일자리 안정 자금 지원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 부담 해결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60.8%에 달했다.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와 관련해서는 찬성이 54.3%로, 반대 36.5%를 앞질렀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추가 배치에 대해선 찬성 49.5%, 반대 44.0%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