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의 요청에 따라 자동차 부품업체 ‘다스’의 미국 소송비용을 삼성전자가 대납했다는 의혹에 대해 이명박(MB) 대통령 측이 “이 전 대통령은 다스의 미국 소송에 관여한 바가 없다”며 공식 부인했다. 이 전 대통령 측은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사면이 소송 대납의 대가라는 보도에 대해서도 “이건희 회장의 사면은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에 큰 공헌을 했다”며 악의적 보도라고 선을 그었다.
MB “삼성, 다스 소송비 대납 사실 아냐” 이명박(앞줄 오른쪽) 전 대통령과 이건희(왼쪽) 삼성그룹 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MB “삼성, 다스 소송비 대납 사실 아냐”
이명박(앞줄 오른쪽) 전 대통령과 이건희(왼쪽) 삼성그룹 회장. 연합뉴스 자료사진
이 전 대통령 비서실은 18일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삼성이 이 전 대통령 측 요청에 따라 다스의 미국 소송을 대리하는 ‘에이킨검프’에 소송비용 40억여 원을 대납했다는 일부 언론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비서실은 “이 사안을 이건희 회장 사면과 연결하는 것은 악의적이고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비서실은 “당시 이 회장은 이듬해(2010년 2월)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제122차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IOC 위원 자격을 박탈당할 처지에 있었다”면서 “체육계 원로, 여야 의원 등 각계 인사들이 이 회장의 사면을 강력히 건의했고, 국민적 공감대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사면 결과 이 회장은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큰 공헌을 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학수 전 삼성그룹 부회장은 지난 15일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2009년 다스 소송비 대납이 청와대 요청으로 이뤄졌고, 결정 과정에서 이 회장의 승인이 있었다는 취지의 자수서를 제출한 것으로 전해졌다.
MB 측 “삼성, 다스 소송비 대납 사실 아냐” 이명박 정부 당시 이건희 삼성 회장 특별사면의 대가로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의 소송비를 대신 내줬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이학수(가운데) 전 삼성그룹 부회장이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8.2.15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MB 측 “삼성, 다스 소송비 대납 사실 아냐”
이명박 정부 당시 이건희 삼성 회장 특별사면의 대가로 자동차 부품회사 ‘다스’의 소송비를 대신 내줬다는 혐의를 받고 있는 이학수(가운데) 전 삼성그룹 부회장이 지난 15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18.2.15 연합뉴스
그러나 이 전 대통령 측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이 전 대통령은 최근 언론보도를 통해 처음 (삼성전자의 다스 소송비 대납 관련 사실을) 알았다”면서 “만약 이 전 대통령이 삼성에서 (소송비를 대납)한다는 걸 알았다면 가만히 있었겠느냐. 당연히 그렇게 하지 말라고 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통령이 재임 시절에는 삼성 소송비 대납 과정을 보고받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검찰이 이 전 대통령 측과 삼성 측 관계자들을 제3자 뇌물수수가 아닌 단순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키로 한 데 대해선 “다스가 이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게 확정이 안 되면 제3자 뇌물수수 혐의가 돼야 하는데, 그럴 경우 검찰이 ‘부정한 청탁’의 존재를 증명해야 한다”며 “검찰이 그것을 발견하지 못하니 정황으로 상황을 몰아가기 위해 단순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키로 한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