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자 총회 먼저 열어 ‘김종인 비대위’ 논의… 전국위 무산될 수도

당선자 총회 먼저 열어 ‘김종인 비대위’ 논의… 전국위 무산될 수도

손지은 기자
입력 2020-04-27 23:34
수정 2020-04-28 02: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합당 오늘 ‘운명의 날’

이미지 확대
3선 당선자 모임
3선 당선자 모임 미래통합당 3선 당선자들이 2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 수습 체제를 논의하는 모임 전에 서로 주먹인사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의동, 이종배, 김도읍, 윤재옥, 박덕흠, 이헌승 의원.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심재철 ‘오전 총회·오후 전국위’ 전격 발표
재선 15명 이어 3선 11명도 “총회 소집”
당선자들, 沈권한대행 결정에 불만 여전
“명분 쌓기 불과”… 정족수 미달 가능성도
물밑선 전국위원 참석 여부·표 단속 한창
불발 땐 새달 새 원내대표 경선 이후 결론


미래통합당이 28일 전국위원회에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의결하기에 앞서 21대 국회의원 당선자 총회를 먼저 열어 당론을 모으기로 27일 결정했다. 전국위를 하루 앞두고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이 당내 의견을 일부 수용한 결과다. 하지만 당선자들 중심으로 심 권한대행의 김종인 비대위 강행 결정에 대한 불만이 여전해 전국위가 정족수 부족으로 무산될 가능성까지 거론된다.

심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전격적으로 당선자 총회 소집을 결정했다. 앞서 재선 당선자 15명의 전국위 연기와 당선자 총회 소집 요구는 묵살했으나, 이날 3선 당선자 11명까지 같은 요구를 하면서 더는 당내 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총회 소집을 공개 요구한 인원은 전체 당선자의 3분의1에 달한다.

통합당의 4·15 총선 3선 당선자들은 이날 국회에서 만나 전국위에 앞서 당선자 총회를 열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지도체제 문제는 향후 당의 명운을 가르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당선자 총회에서 개혁 방향과 내용에 총의를 모은 후 이를 바탕으로 논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심 권한대행은 28일 오후 3시 전국위, 29일 오후 2시 당선자 총회 일정을 잡은 바 있다.

이에 심 권한대행이 전격적으로 당선자 총회를 전국위보다 앞선 28일 오전 10시로 변경했으나 당내 불만은 여전하다. 한 현역 의원은 통화에서 “이런 식으로 총회를 소집하는 것은 명분 쌓기에 불과하다”며 “하루 전에 통보하고, 현역들은 추가경정예산안 심사로 상임위가 줄줄이 잡혀 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또 다른 당선자는 “전국위에 참여하겠다는 인원이 얼마 안 된다”며 “정족수 미달로 차라리 추후 결정으로 미루는 게 낫다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2016년 무산된 ‘김용태 혁신비대위’를 추진했던 한 현역 의원은 “당선자 총회에서 전국위를 하면 안 된다고 의견이 모이면 따라야 한다”며 “총회 결정을 따르지 않고 전국위가 엎어지면 당이 끝장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도부에서 김종인 비대위를 반대했던 조경태 최고위원은 “아마 전국위가 무산되거나 부결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비대위의 임기와 역할을 명시하는 수정안 의결은 가능하다고 한발 물러섰다.

물밑에서는 전국위를 앞두고 전국위원들의 참석 여부와 표 단속이 한창이다. 전국위는 현역 의원, 자치단체장, 기초의회 의장 등 600여명으로 구성된다. 전국위가 불발되면 김종인 비대위의 운명은 다음달 8일 신임 원내대표 경선 이후 결정될 전망이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서울특별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신동원 의원(노원1·국민의힘)은 지난 28일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 황상하 사장을 상대로 백사마을 주택재정비사업 과정에서 드러난 이주대책·보상 문제를 집중 추궁하며, “주민 불이익을 신속히 해소하고 공정한 보상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 의원은 “백사마을의 무허가주책 가옥주들은 수십 년간 해당 지역에 터를 잡고 살아온 고령층 및 저소득층 주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은 재개발 사업 앞에서 한없이 취약해지는 사회적 안전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인 주거 약자”라고 강조했다. 이어 “백사마을은 주거지 보전지역 해제로 세대가 741세대 늘어나 사업성이 개선됐음에도, 무허가주택 가옥주들에 대한 입주권 기준일을 1981년으로 제한해 주민 불이익이 계속되고 있다. 타 재개발 지구처럼 형평성 있는 보상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SH공사가 시행한 타 재개발 지구에서 임대아파트 입주권을 부여했던 사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사마을 주민에게는 동일한 혜택을 적용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백사마을 주민만 차별을 받는 것은 형평성에 어긋나며, 이는 명백한 불공정 사례”
thumbnail - 신동원 서울시의원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 백사마을 주민 불이익 해소 위해 공정 보상 나서야”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20-04-28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